우크라이나 부총리가 삼성전자의 러시아 사업 중단을 촉구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대(對) 러시아 수출이 멈췄다. 삼성전자는 우크라이나의 요청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한 후원금을 기부하는 등 국제사회 움직임에 동참하고 나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러시아행 물품 출하가 중단됐다. 글로벌 선사들이 러시아로 가는 선박의 운항을 중단하면서 글로벌 물류 시스템에 차질이 생기자 삼성전자도 영향을 피해가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30%로 1위를 차지했었다. 삼성전자는 러시아 현지 공장을 계속 가동하고 있고, 일부 재고를 확보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물품 출하(수출) 중단 상황이 길어지면 공장 가동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물류비용, 환율 등의 여러 변수로 러시아에 제품 수출이 안 되는 상황이다.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디지털혁신부 장관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삼성전자에 러시아 수출을 멈춰 달라고 요청했다. 페도로프 부총리는 트위터를 이용해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에 ‘러시아 제재’를 호소하고 있다.
게시글에 함께 첨부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보낸 서한에는 구체적인 제재 방법도 적혔다. 삼성페이와 삼성갤럭시스토어 등으로의 접근 차단, 삼성전자의 제품·서비스 공급 중단 등이 포함돼 있다. 페도로프 부총리는 “세계의 재계 지도자·기업·단체는 우리가 어떤 가치를 위해 싸우는지 알고 말과 행동으로 우리를 돕고 있다. 러시아의 탱크와 미사일이 우크라이나 유치원과 병원을 폭격하는 한 삼성의 멋진 제품이 러시아에서 사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러시아 제재’ ‘러시아 손절’은 거세지고 있다. 애플은 러시아에서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미국 웹사이트에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유니세프 기부 기능을 추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인텔 등의 빅테크 기업들은 판매·서비스를 멈추고 우크라이나에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비자·마스터카드, 결제 플랫폼 페이팔 등도 러시아 영업을 중단했다. 폭스바겐, 다임러트럭 등도 러시아 현지 공장을 멈춰 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러시아를 향한 제재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난민에게 600만 달러(약 73억원)를 기부하는 등 지원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우크라이나 난민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구호 물품 지원 등을 국제기구와 연대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적십자 등에 기부하는 600만 달러의 지원금에는 100만 달러 상당의 가전제품 현물도 들어 있다. 임직원의 자발적인 기부금도 추가할 계획이다.
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