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 수석무용수 김기민(사진)이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스페인과 영국 무대에 설 수 없게 됐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미국 투어공연에서 ‘친푸틴’ 피아니스트 데니스 마추예프를 대신해 협연자로 나서는 기회를 잡은 것과 반대다.
마린스키 발레단의 간판스타 중 한 명인 김기민은 세계 각국에서 갈라 공연이나 게스트 출연 요청을 받아왔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무용수, 러시아 발레단과 함께 김기민도 공연이 취소되고 있다.
김기민은 지난 4일부터 3일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카탈루냐 발레단의 ‘돈키호테’에 주역으로 출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달 27일 유럽연합(EU) 등 서방 36개국과 러시아가 각각 상대방 항공기의 역내 운항을 금지하면서 러시아 밖으로 이동이 어려워져 출연을 취소했다.
김기민은 13일 영국 런던 콜리세움 극장에서 예정됐던 ‘발레 아이콘 갈라 2022’에도 출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공연을 주최하는 영국 앙상블 프로덕션과 콜리세움 극장이 지난 1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를 위해 공연을 취소했다. 2006년부터 매년 3월 런던에서 열리는 발레 아이콘 갈라에는 당대 최고의 무용수가 참가한다. 올해는 현대 발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발레 뤼스’ 창시자 세르게이 디아길레프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는 무대로 구성해 김기민 등 발레 스타 28명을 초청했다. 이들 가운데 마린스키 발레단 4명, 볼쇼이 발레단 5명 등 러시아 측 참가자가 9명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치적인 문제로 국제무대 활약 기회가 줄어드는 것에 대해 김기민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카탈루냐 발레단이 지난 1일 현지 언론에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김기민은 “춤은 몸으로 말하는 또 다른 언어다. 내게는 그것이 예술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 많은 정치적 문제가 있고 전쟁과 전염병이 있어도 예술, 특히 발레가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는다. 나는 정치에 관해서는 이야기하기 어렵다. 그저 춤을 추고 싶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