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 동해 영월, 부산 금정, 경기 안산, 대구 달성 등 전국 곳곳에서 잇따라 대형 산불이 발생해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메마른 대기와 강풍 탓에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으면서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6일 오전 11시 기준 동해안 산불 산림 피해만 1만4222㏊로 추정됐다. 서울 여의도 면적(290㏊)의 약 49배에 이르는 규모다.
정부는 우선 산불 확산 차단과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주요 국가시설 보호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미 7000여명의 재난 피해자들이 집을 떠나 안전한 곳으로 긴급 대피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필사의 방어로 아직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울진 원전을 비롯해 삼척 가스 기지 등 주요 국가시설도 위협받고 있다. 강원도 기념물인 동해 어달산 봉수대와 울진 금강송 등 문화재 및 천연기념물도 위기를 맞고 있다. 중대본은 이들 주요 지역에 소방헬기와 인력 등의 배치 지원을 신속하게 늘려 피해를 줄이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정부는 또 신속한 복구가 이뤄져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삶의 터전을 되찾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를 직접 찾아 주민들을 위로하고 즉각 울진과 삼척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것도 빠른 피해 복구를 위한 차원이다. 아울러 국민의 자발적인 산불 안전 의식도 각별히 요구된다. 올해 들어 산불은 예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담뱃불 같은 입산자의 실화 등 ‘부주의’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설] 대형 산불 확산 차단·진화와 피해 복구에 만전 기하라
입력 2022-03-07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