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수십명 “의용군으로 우크라 가서 참전하겠다”

입력 2022-03-04 04:04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한 공원에서 정부군과 의용군이 러시아군 침공에 대비해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의용군으로 참전하겠다는 한국인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3일 밝혔다.

대사관 측은 “우크라이나로 가서 참전하겠다는 문의가 대사관으로 빗발치고 있다”며 “지금까지 수십명 정도가 문의했고 대부분 한국인”이라고 전했다. 대사관 측은 연락이 오면 일단 입대 가능 여부를 확인한 뒤 특정 자격을 충족하면 입대와 관련한 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대사관 측은 “일부 자원자는 우크라이나로 최대한 빨리 보내달라고 요청했다”며 “아직 실제로 우크라이나로 간 한국인은 없다”고 소개했다. 또 전날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공식 후원계좌를 공개한 뒤 이날 오후 7시 까지 이틀간 약 10억원 가까이 후원금이 모금됐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우크라이나 전역이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됐다”며 우크라이나에 허가 없이 들어가면 여권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외국에서도 의용군 지원이 잇따르고 있다.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이미 우크라이나로 떠난 영국 공수부대 출신 전직 군인은 150명이 넘는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외국인 부대인 ‘영토수호 국제부대’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 키이우(키예프)에서 홀로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우크라이나 수호에 참여하고 싶은 분들은 우크라이나로 와서 러시아 전범과 맞서 싸워 달라”며 국제 의용군 참여를 호소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모집 사실이 알려진 지 하루 만에 수천명이 자원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인디펜던트는 네덜란드 영국 캐나다 등지에서 전직 군인, 구급대원, 일반 시민 등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우크라이나로 떠날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에서도 1일까지 전직 자위대원과 프랑스 외인부대원을 포함해 약 70명이 의용군으로 참전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그러나 각국에서는 자국민이 정부 허가 없이 전쟁에 참여하는 것은 ‘전쟁범죄’에 해당할 수 있어 실정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