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러시아군의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압도적 찬성으로 채택됐다. 반인륜적 전쟁범죄를 저지른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준엄한 심판이다. 어린이 등 무고한 민간인을 무참하게 살상하는 러시아의 잔학행위는 인류의 이름으로 규탄받아 마땅하다. 법적 구속력을 갖지 못하는 게 개탄스럽다.
서방의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채택 시도가 안보리 상임이사국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불발되면서 그 대안으로 마련된 게 이번 유엔긴급특별총회 결의안이다. 유엔긴급특별총회가 열린 건 유엔 창설 이후 한국전쟁을 포함해 이번까지 11차례에 불과하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그만큼 엄중하다는 데 국제사회가 인식을 함께하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무려 141개 유엔 회원국이 찬성표를 던진 게 그 방증이다. 반대표를 던진 국가는 북한 러시아 벨라루스 에리트레아 시리아 5개국에 불과하다.
35개국이 기권한 건 의외다.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 기권한 나라엔 중국 인도 이란 등이 포함됐다. 중국은 미국과 패권 경쟁 중이고, 인도 이란 등도 역내 영향력이 만만찮은 국가들이다. 인류 공멸을 초래할 핵전쟁 운운하는 만행을 목도하면서도 자국의 유불리만 따지는 냉엄한 국제사회의 현주소다. 자칫 푸틴에게 잘못된 시그널로 작동할 수 있어 우려된다.
푸틴은 오판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는 강했다. 국제사회도 우크라이나 편이다. 온 국민이 하나된 우크라이나의 결사항전에 고립무원의 신세로 전락한 건 오히려 러시아다. 명분 없는 전쟁에 러시아군은 물론 러시아 국민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러시아 국민도 반대하는 전쟁이다. 푸틴은 이미 졌다.
[사설] 푸틴, 유엔긴급특별총회 결의 즉각 따르라
입력 2022-03-04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