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동안 횡보세를 보이는 듯하던 코로나19 확진자가 주중 다시 치솟아 22만명에 육박했다. 정점이 이달 중순으로 예상되는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정부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중단에 이어 대선 전 사회적 거리두기 조기 완화 카드도 꺼내려는 분위기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3월 한 달이 매우 중차대한 시기”라며 “위중증·사망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확진자 증가에 따라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점차 늘고 있다며 봄철을 맞아 늘어날 사회적 활동량에 우려도 표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21만9241명으로 전주 같은 요일 대비 5만명 가까이 증가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확진자는 18만6169명으로 전날 동시간 대비 1만8791명 적었다.
반면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애초 종료 기한인 오는 13일 이전에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총리는 “현재의 방역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오미크론 대응 목표의 관점에서 조정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 일환으로 이날과 3일 이틀에 걸쳐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사적모임 인원과 영업시간을 각각 8명, 오후 11시로 완화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방안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사·격리체계 개편, 방역패스 중단에 이어 거리두기마저 완화된다면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은 당초 예상보다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 관건은 이달 말에 찾아올 여파를 의료 대응체계가 버텨낼 수 있는지에 달렸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762명, 신규 사망자는 96명으로 집계됐다.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전국 50.1%로 오미크론 우세종화 이래 처음으로 확보 병상의 절반을 넘겼다.
위중증 환자 수와 실제 병상 가동률 사이의 괴리까지 고려하면 의료 여력은 곧 한계에 부딪힐 공산이 크다. 다음 달 초 위중증 환자가 2500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있다. 정점을 기록한 뒤도 문제다. 이후 유행이 얼마나 빨리 잦아들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의료체계가 겪는 부하 역시 얼마나 강할지 내다볼 수 없다.
확진자 급증에 검사 역량 초과는 이미 현실이 됐다. 지난달 28일 하루 동안 105만4030건의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이뤄졌다. 이는 하루 역량으로 알려진 85만건을 훌쩍 넘는 양이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검사기관이 보건소에 결과를 회신하는 데 평균 8~12시간 걸리던 것이 18시간까지 길어졌다”며 “행정인력 재배치, 파견 등을 통해 개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