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전투표 적극 참여, 유권자 의무이자 권리다

입력 2022-03-03 04:01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가능
적극적인 내 한 표가 한국 미래 좌우
참정권 해치는 음모론 제기는 없어야


20대 대선 사전투표가 내일과 모레 이틀간 실시된다. 사전투표는 부재자투표와 달리 신고 없이 신분증만 가지고 가면 전국 읍·면·동 투표소 어디서나 투표가 가능한 제도다. 집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투표소를 찾아가면 편리하게 투표할 수 있다. 이번 대선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코로나19 이후 경제 살리기 등을 감안하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특히 오는 9일 본투표에 참여하기 힘든 사정이 있다면 반드시 사전투표에 참여하는 게 국민 된 도리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적극 투표 의향을 밝힌 유권자는 80% 중후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가 정점을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도 투표에 나서겠다는 유권자가 많아 다행이다. 사전투표도 30%를 넘어서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국 단위 선거로는 2014년 지방선거 때 처음으로 실시된 사전투표 참여 비율은 갈수록 늘고 있다. 2017년 대선 때 26.06%에 이어 2020년 총선 때 26.69%로 역대 최고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다. 사전투표는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거 투표장으로 몰려드는 본투표에 나서는 것보다 감염 위험으로부터 자신도 보호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측면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유튜버와 유명 정치인들이 사전투표 조작 주장 등 터무니없는 음모론을 제기하는 것은 참정권을 해치는 행위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이들에 대해 법적 조치 등 제재에 나선 것은 당연하다. 그런 만큼 중앙선관위는 만에 하나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더 세심하고 철저하게 사전투표 관리에 나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의 투표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전체 사전투표는 4~5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하지만,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는 사전투표 둘째 날인 5일 투표를 할 수 있다. 방역 당국의 외출 허용 시각인 오후 5시부터 6시 전까지 투표소에 도착해야만 별도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에 코로나 사태 와중이라 해서 선거에 소극적이어서는 결코 안 될 일이다. 가능한 한 많이 투표에 참여해야 정확한 민의가 드러난다. 과거 선거에서 드러났듯 사전투표가 투표 참여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도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양강의 초접전 판세와 코로나 폭증 사태가 겹치면서 여야 정치권이 지지층을 대상으로 사전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독려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유권자는 모두 내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생각을 갖고 사전투표부터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