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창립 54년 만에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오늘은 포스코 역사에서 제2의 창업이 시작되는 날이다. 포스코홀딩스 출범은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가 이뤄낸 철강 성공의 신화를 넘어 100년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는 첫 출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는 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최 회장을 비롯해 그룹사 임직원 80여명이 참석했고, 사내에 온라인 생중계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철강사업 부문을 담당하는 포스코와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케미칼 등의 자회사를 거느린다. 자회사의 사업 역량을 키우면서 그룹 미래를 설계·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기존에 경영전략, 포트폴리오 관리 등의 그룹 경영을 담당하던 200여명을 중심으로 경영전략팀, 친환경인프라팀, ESG팀, 친환경미래소재팀, 미래기술연구원 등의 조직을 구성했다.
미래기술연구원은 신사업 연구·개발(R&D) 및 핵심기술 확보에 집중한다. 국내외 우수 연구인력을 집중적으로 유치해 인공지능, 이차전지, 수소 등의 미래 신기술 분야를 이끌 계획이다. 그룹의 뿌리인 철강사업 부문은 수소환원제철,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등의 친환경 생산체제로 전환한다.
최 회장은 “지주회사는 그룹 전체 시각에서 시대 요구에 맞는 유연성을 추구하고, 사업회사는 분야별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업의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사업회사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사업을 발굴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포스코홀딩스의 3가지 역할을 제시했다.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육성하는 ‘포트폴리오 개발자’, 그룹의 성장 정체성에 맞게 사업구조를 혁신하고 단위 사업간 융·복합 기회를 찾는 ‘시너지 설계자’,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체화해 ESG 경영을 선도·조율하는 ‘ESG 리더’가 그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7대 핵심사업(철강, 이차전지 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에 집중하면서 철강 탄소중립 완성, 신 모빌리티 견인, 그린에너지 선도, 미래 주거 실현, 글로벌 식량자원 확보라는 목표를 향해 달릴 방침이다. 2030년까지 기업가치를 3배 이상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지주회사 소재지 이전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지난달 25일 포항 주민과 정치권의 반대로 포스코홀딩스 소재지를 내년 3월까지 경북 포항시로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지주회사 소재지를 옮기려면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사회 및 주주 설득이라는 숙제가 남게 됐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