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대선을 일주일 정도 남긴 시점에서 서로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 후보는 막판까지 정책·공약을 쏟아내며 자신의 능력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반면 윤 후보는 높은 정권교체 열기를 의식해 ‘오로지 정권교체’를 강조할 계획이다.
이 후보 선대위 관계자는 1일 “대선을 1~2주 앞두고 큰 어젠다나 정책을 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번은 다르다”면서 “마지막 순간까지 정책과 공약, 어젠다를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 측은 정책과 공약을 통해 ‘유능한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막판 부동층 표심을 끌어모으겠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이 후보는 최근 발표한 ‘국민통합 정치개혁안’을 포함해 연일 ‘새로운 약속’들을 내놓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등의 부동산 대책과 ‘3차 백신접종자 대상, 영업제한 24시 완화’ 등을 재차 강조했다. 오후엔 ‘스마트 강군을 위한 장병 복지 8대 공약’으로 ‘병사월급 200만원 이상 보장’ ‘군인상해보험 전면시행’ 등을 꺼냈다.
이 후보는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외국인 투자기업인과 경제대화’에 참석해 자신의 경제정책 기조를 담은 ‘신경제 10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 후보가 제시한 ‘신경제 전략’의 핵심은 규제 합리화다. 이 후보는 “공정 경쟁 분야는 규제를 강화하더라도 혁신 성장 분야는 획기적인 규제 개혁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선대위도 이 후보의 스탠스에 맞춰 ‘서울 재건축·재개발 용적률 500% 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며 총력전을 펼쳤다. 이 후보 선대위 관계자는 “이번 대선은 네거티브 이슈가 많아서 끝까지 포지티브 이슈를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상호 총괄선대본부장은 “20·30대, 특히 여성층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네거티브”라며 “(정치개혁안 등을 보고) ‘차라리 이재명이 낫다’고 이야기해주는 담론의 연대가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의 든든한 지원군은 여전히 높은 정권교체 여론이다. 윤 후보가 현장 유세에서 연일 이 후보와 정부·여당을 강도 높게 비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윤 후보는 지난 28일 “무도한 민주당 정권을 쫓아내는 것이 바로 정치개혁”이라고 주장하는 등 발언 수위도 높이고 있다.
윤 후보는 공약도 정권심판론과 연관시키고 있다. 윤 후보는 이날 ‘시민단체 불법이익 전액환수’ 공약을 내세우며 선명한 차별화 전략을 취했다.
윤 후보는 민주당 소속이었던 윤미향 의원의 정의기억연대 후원금 유용 의혹을 거론하며 “시민단체의 공금 유용과 회계 부정을 방지할 수 있는 ‘윤미향 방지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영남권 의원은 “윤 후보의 가장 큰 무기는 뭐니 뭐니 해도 정권교체 열기”라며 “대선 막판까지 이 열기를 고조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 선대본부 관계자는 “윤 후보는 문재인 정권과 맞서 싸웠던 공정의 상징”이라며 “말이 수시로 바뀌는 이 후보와는 다르다는 것을 강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2일 TV토론회를 마친 뒤 주말까지 전국을 샅샅이 훑을 예정이다. 윤 후보는 충청과 대구·경북 지역을 찾은 뒤 최대 승부처인 서울과 수도권에서 유세를 벌일 계획이다.
박재현 이가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