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크라發 물가 급등세… 정부의 철저한 대응 필요하다

입력 2022-03-02 04:05
물가가 초비상이다. 코로나19 이후 돈이 많이 풀리며 가뜩이나 높아진 물가에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가 기름을 붓고 있다. 특히 3월 들어서자마자 서민 연료로 불리는 액화석유가스(LPG)와 식품류 가격이 일제히 뛰며 저소득, 취약계층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어서 걱정이 더하다.

국내 LPG 수입업체 E1과 SK가스는 3월 국내 LPG 공급가격을 kg당 60원 인상했다. 3월 국내 가격에 반영되는 2월 국제 LPG 가격이 전달보다 35달러나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24일 발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적지 않은 영향을 가져다 준 것으로 보인다.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도 6주 연속 상승하며 서울·제주는 이미 리터당 1800원을 넘었다. 원자재 외에도 아이스크림 전문점 배스킨라빈스는 1일부터 제품 가격을 평균 8% 올렸고 스팸·리챔 가격도 이날 5~8%씩 인상됐다. 전방위 물가 인상이 본격화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0년 만에 3%대(3.1%)로 높게 잡았는데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에 따라 이 수치마저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문제는 물가 충격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계층이 저소득층이란 점이다. 저소득층은 연료비와 식료품 지출 비중이 어느 계층보다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 대비 연료비 지출 비중은 8.3%로 전체 가구 평균(3.9%)의 두 배를 웃돌았다. 지난해 4분기 전체 소비지출 중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를 사는 데 쓴 비용은 15.8%인데 1분위는 22.9%로 평균을 훌쩍 넘었다. 대외변수로 인해 수단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정부의 비상한 각오가 요구된다. 4월 종료 예정인 유류세 및 액화천연가스(LNG) 할당관세 인하 조치부터 추가 연장하는 등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 가계의 물가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는 것을 임기말 마지막 과제로 여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