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서울 거주자들이 다른 지역 아파트를 사들이는 비중이 크게 줄었다. 이미 서울에서도 ‘절벽’이라고 할 만큼 아파트 거래가 급감했다. 집값 과열이 심할 때에는 서울 등 수도권의 거래가 막힐수록 ‘탈서울’이 늘거나 원정투자가 들끓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선과 대출규제 등의 변수를 눈앞에 두고 거래가 잠잠하다.
1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에 따르면 지난 1월에 일부 원정투자를 포함한 서울 거주자의 다른 지역 아파트 매입 비중은 7.1%에 그쳤다. 이는 2020년 11월(6.1%) 이후 1년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집값 상승세가 지속했던 지난해 9월 서울 거주자의 다른 지역 아파트 매입 비중이 9.65%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내림세가 뚜렷하다.
서울 거주자의 다른 지역 아파트 매입이 줄어든 건 정책 변화를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규제가 작동하고 있고, 대선 후보들은 실현 가능성이나 결과를 예상하기 어려운 부동산 공약을 내놓은 상태다. 이에 시장 전체에 관망세가 짙어졌고, 서울 거주자들의 다른 지역 아파트 매입 비중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에서 서울 거주자들의 매입 비중이 크게 줄었다. 서울 거주자들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 비중은 지난해 9월 20.97%까지 뛰었지만, 이후 감소세를 보여 올해 1월 16.61%로 떨어졌다. 인천 아파트 매입 비중도 지난해 7월 14.28%에서 올해 1월 11.42%로 감소했다. 서울 실거주자들의 탈서울 열기가 다소 식은 데다, 광역급행철도(GTX) 호재에 따른 급등이 진정되면서 분위기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다른 지역 거주자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올해 조금 늘었다. 전체 거래량 자체는 워낙 적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281건으로 2013년 1월(1213건) 이후 9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23.7%(304건)를 서울 이외 다른 지역 거주자가 매입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