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이 러시아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접근을 차단하는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현재 북한과 이란에만 적용되는 스위프트 제재는 거의 모든 국제 금융거래 봉쇄로 이어지기 때문에 ‘금융의 핵무기’로 비유될 만큼 강력한 제재로 꼽힌다.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는 26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내고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를 비롯해 다른 도시를 공격함에 따라 러시아를 국제 금융체계로부터 고립시키기로 했다”며 “조만간 이 조치들이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도 이날 저녁 서방의 스위프트 배제에 동참한다고 발표했다.
스위프트는 달러화로 국제 금융거래를 할 때 필요한 전산망이다. 전 세계 200여개국 1만1000곳이 넘는 금융기관이 사용하고 있다. 개인이 해외로 돈을 보낼 때도 스위프트 코드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 결제망에서 퇴출되면 사실상 해외 송금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러시아의 스위프트 퇴출은 우크라이나가 지속적으로 미국 등 서방에 요구했던 사안이다. 러시아와 거래가 많은 독일 등에서 이견이 계속돼 그간 시행이 미뤄져 왔지만 독일 정부가 스위프트 제재 찬성 의사를 밝히면서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이번 조치로 우선 선별된 러시아의 일부 은행이 스위프트 결제망에서 전면 배제된다. 러시아 중앙은행의 국제 보유고 접근도 제한된다. 미국 고위 당국자는 “전 세계 대부분의 은행이 스위프트에서 차단된 러시아 은행과의 거래를 완전히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 내부에서도 상당한 동요를 보이는 분위기다. 가디언에 따르면 세르게이 알렉산첸코 전 러시아 중앙은행 부총재는 러시아 외환시장에 대해 “(스위프트에서 퇴출되면) 대재앙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서방은 러시아 정부와 연결된 부유층에 대한 시민권 제한 조치도 취하기로 했다. 일정한 금액을 투자한 외국인에게 시민권을 발행하는 이른바 ‘황금 여권’(골든 패스포트) 판매를 제한하는 것이다.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연대 움직임도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각국 우크라이나대사관 앞에는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의미의 꽃다발이 수북이 쌓였다.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캐나다 몬트리올 등 곳곳에서 많은 시민이 ‘스톱 푸틴’ ‘전쟁 반대’ 등의 푯말을 들고 반전 시위를 벌였다.
온라인에서도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러시아를 비판하는 해시태그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트위터에선 우크라이나와 함께한다는 의미의 해시태그 ‘#StandWithUkraine’, 러시아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비판하는 ‘#StopPutin’ ‘#StopRussia’가 확산 중이다.
러시아 내에서도 반전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난 24일부터 사흘간 러시아 전역에서 3093명이 반전 시위로 체포됐다.
황인호 기자,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