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가 구글, 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으로 번지고 있다. 국가 차원의 ‘온라인 접근’ 간섭이 심해지면서 인터넷이 파편화하는 ‘스플린터넷(splinternet)’ 현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최근 몇 년 간 중국과 나머지 세계를 갈라놨던 인터넷의 파편화가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가속화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때 인터넷은 전 세계 어디에서 접속해도 동일한 접근성을 보장했다.
하지만, 국가의 개입이 심해지면서 각국의 요구사항이 덧대지고 여러 개로 쪼개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스플린터넷이라고 부른다.
구글은 러시아 국영 언론사 RT 등이 웹사이트, 앱 및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광고 수익을 올리지 못하도록 금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앞서 페이스북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는 조치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은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러시아도 가만히 있지 않는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서방국가의 SNS 서비스 접속을 제한하는 식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SNS가 중요한 선전도구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SNS 영향력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는 빅테크 기업에 저마다의 요구사항을 추가하고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이 행동에 나선 것도 그동안 미국 의회, 일부 사용자들이 러시아 정부와 연결된 채널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며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구글은 콘텐츠 삭제에 대한 정부 요청이 2015년 이후 5배 증가해 연간 약 5만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페이스북도 2021년 6월 기준으로 약 9만건의 요청을 받았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비영리인권단체 프리덤 하우스에 따르면 지난해에 최소 48개국의 정부가 콘텐츠, 데이터 또는 경쟁에 대해 기술 회사에 새로운 규칙 마련을 요구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