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노인들이 살기 좋은 도시’ 실현에 나선다. 올 한해 6991억원을 들여 고령친화도시를 구축한다.
광주시는 “노인들이 살기 좋은 도시 건설을 위해 일자리, 사회참여·문화, 돌봄 복지, 보건·요양, 생활환경 등 5가지 영역에 49개 세부과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 기반 확충과 함께 장년층 종합지원 플랫폼인 ‘빛고을 50+센터’를 활성화한다. 고령층 삶의 질 보장을 위한 치매 예방 특화형 노인복합시설 건립,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와 기초연금 확대에도 주력한다.
치매 전담 요양시설을 확충하고 교통약자를 배려한 노인보호구역도 확대한다. 또 혼자 사는 노인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등 어르신들의 행복한 노후를 도울 시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어르신 정책모니터링단’도 구성해 운영한다. 고령친화도시 시행계획과 추진사항에 대한 점검·평가, 정책과제 발굴 등을 전담한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제2기(2023~2027년) 5개년 기본계획도 수립해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인증도 받는다.
고령친화도시 인증은 국제사회가 지구촌의 고령화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WHO가 추진해온 사업이다. 현재 44개국 1110여개 도시(국내 33개)가 가입돼 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고령자 현황을 보면 광주지역 65세 이상 인구는 올해 13%에서 2045년 35.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주 광주시 복지건강국장은 “노인들이 아무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고령친화적 도시환경을 지속해서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