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가족 확진’ 미접종자도 격리 면제

입력 2022-02-26 04:06
연합뉴스

다음 달부터는 코로나19 확진자의 동거가족 등 동거인은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자가격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월 1일부터 확진자의 동거인은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스스로 격리 여부를 결정하게 하겠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미접종자는 접종 완료자와 달리 동거인이 확진되면 7일간 함께 격리되는데 앞으로는 이런 의무를 없애고 모두 ‘수동감시’하겠다는 것이다. 감시 기간은 10일로 현재 자가격리 중인 미접종 동거인도 소급 적용받는다.

확진자의 동거인이 격리·감시 해제 전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도록 한 의무도 없어진다. 대신 정부는 확진자의 검사일로부터 3일 안에 PCR 검사를 받고, 7일 차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받도록 권고했다. 또 감시 시작 3일간은 자택에서 대기하고, 외출할 때는 KF94 마스크를 쓰도록 했다. 다만 학교에는 다음 달 14일부터 이 지침이 적용된다.

정부의 지침 변경 배경에는 일선 보건소의 업무 과부하가 자리 잡고 있다. 확진자의 동거인을 일일이 파악해 접종 이력을 확인하고, 격리 여부를 결정하는 게 감염자 폭증과 함께 더는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확진자가 10만명, 17만명이라는 것은 보건소당 (관리 인원이) 1000명, 1700명이라는 것”이라며 “일선 선생님(보건소 직원)들이 가장 어려워한 게 동거가족의 격리문제”라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 유행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655명으로 전날보다 74명 늘었다. 사망자도 하루 새 94명 늘었다. 전국 코로나19 중환자실 가동률은 40.8%(2688개 중 1096개 사용)까지 올랐다. 재택치료자도 65만181명으로 전날보다 6만2483여명 늘었다. 동거가족까지 합하면 재택격리자는 100만명이 넘는다.

정부는 다음 달 중순을 이번 유행의 정점으로 보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많은 전문가가 3월 중순 정점을 찍고, 그 수는 25만명 내외가 되지 않겠나 추측한다”고 밝혔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