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도 양주 덕정과 수원을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 정차역으로 기존에 발표한 왕십리역·인덕원역·의왕역에 이어 상록수역까지 4개 역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지역자치단체와 C노선의 민간 사업자(우선협상대상자) 간 협의에 따른 결정이지만, 그동안 부동산 시장 자극 등을 이유로 정차역 추가에 미온적이었던 정부가 다음 달 대선을 의식해 방침을 바꾼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국토교통부는 24일 발표한 ‘GTX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을 통해 “C노선의 우선협상대상자가 제안한 4개 추가 역에 대해 민자적격성조사 결과 적격성이 확보돼 지난달 실시협약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실시협약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검토와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상반기 중에 체결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6월 C노선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당시 국토부는 덕정~수원 구간 내 10개 역에 왕십리역과 인덕원역만 추가 정차역으로 제시했다. 이후 사업자 측이 관련 지자체와의 협의를 거쳐 의왕역과 상록수역 추가를 제안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의왕역만 지난 8월 의왕 일대 신규 공공택지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추가 정차역으로 포함했을 뿐 상록수역 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가 이번에 4개 역 추가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부가 2주 안으로 다가온 대선에서 수도권 관련 지역 표심을 노린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정차역이 늘면 정차역 주변 지역에는 호재지만 주변 집값을 자극하거나 서울 도심까지 소요시간이 더 길어지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지자체 협의를 거쳐 제안한 것”이라며 “정치적 일정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차역 추가에 따른 소요시간 문제에 대해서는 “노선의 처음과 끝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 것이냐 기준을 정한 뒤 거기에서 수익성과 국민 편의까지 고려해서 제한을 뒀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올해 상반기 중 재정구간 기본계획과 민자구간 시설사업기본계획(RFP)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GTX-B노선에도 정차역 3개를 추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내년 말에서 2024년 상반기 개통 목표인 GTX-A노선과 관련해 정부는 올해 차량 제작과 임시차량기지 건설, 신호 시스템 설치 등에 착수한다. 다만 서울시가 추진 중인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건설계획이 지연되면서 2028년까지는 GTX 열차가 삼성역에 정차하지 못해 반쪽짜리라는 비판도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2028년까지는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전에라도 지하철 2호선 삼성역과 바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작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