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화재에 신속대응하기 위해 소방 인프라 구축을 집중 추진한다. 또 소방공무원 증원, 119안전센터 6곳 신설, 소방차량, 개인안전장비 등을 보강한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24일 ‘2022년 실천과제’를 24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화재진압, 구급, 구조분야 소방공무원 392명을 증원하고, 신도시나 소방서가 먼 화성 송산 등 총 6곳에 119안전센터 신설을 추진한다. 펌프차, 소형사다리차 등 소방차량 13종 110대, 화재·구조·구급 현장활동장비 및 개인안전장비 100종 27만여 점을 보강한다.
안정적 상황에서 현장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소방공무원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및 건강정보 통합관리로 치료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고품질 응급의료체계도 구축한다. 재택치료자 지속 증가에 따라 코로나19 응급환자 이송을 전담구급대에서 전 구급대로 확대 운영한다.
또 전문 응급처치가 가능한 특별구급대를 소방서별 2대씩 70대 운영하고, 심정지 등 중증환자 대응 스마트 의료지도를 18개 관서에서 21개 관서로 확대 운영한다.
이와 함께 최근 계속되는 사고로 피해 우려가 큰 공사장과 물류창고 등 소방관리대상물 화재위험 특성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공사장은 유관기관 합동 소방특별조사를 지속 실시하고, 물류창고 등 중점관리대상 911곳은 화재이력 등을 고려해 안전등급을 나눠 관리한다.
최적의 현장대응 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10개 시·군에 설치를 완료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방차 출동시간 단축 대책과 소화전 보강대책도 세운다.
최병일 도 소방재난본부장은 “적극적인 소방 인프라 확충과 강력한 예방활동으로 사각지대 없는 재난대비 안전망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