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민간 메타버스 전문가들과 손 잡고 ‘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위해 본격 출발했다.
경북도는 24일 도청에서 메타버스와 현실을 융합한 신개념 디지털 방식으로 ‘메타경북 정책자문단 출범 및 메타버스 수도 경북 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
행사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정책자문위원 실물을 반영한 가상캐릭터 소개, 2026년 메타버스 수도 인구 1000만명 달성을 위한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구상 발표, 가상공간에서 전 세계 주요 수도와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축해 ‘메타버스 수도 경북’으로 도약하는 퍼포먼스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경북의 본캐릭터(본캐)는 새바람행복 경북, 부캐릭터(부캐)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메타경북)이라는 재미있는 메타버스 경북의 정의도 내려졌다.
메타경북 정책자문단은 산업 문화 관광 교육 ICT 분야의 교수, 연구원, CEO 등 4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메타버스 얼라이언스에는 도내외 50여개 기업도 참여했다. 얼라이언스는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로 메타버스 및 ICT 기업 중심으로 운영되며 기업이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경북도가 뒷받침하는 체계다.
최성광 민관합동 메타경북추진 공동위원장은 ‘지역 기반 메타버스와 그 효용’ 특강에서 “글로벌기업들이 말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를 경북도가 먼저 구현해 선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메타버스 지방 정부 대전환을 선도하겠다”며 “메타버스 수도 경북으로 청년들이 몰려드는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