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합니다.”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해 국제분쟁지역화 전략에 말려들지 않는 실리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경북도가 독도 관할 지자체로서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이철우 지사 주재로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에 대응해 경상북도 독도위원회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기관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상북도 독도평화관리 민관합동회의’를 개최했다.
정재정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전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정부가 아베 정권을 답습하고 있어 올해 한·일 관계에 큰 변화가 오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본의 실체를 냉정히 파악해 앞으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정례적 독도 도발에 대해 국제분쟁지역화 전략에 말려들지 않는 실리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경북도가 독도관할 지자체로서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도 했다.
이정태 경북대 교수는 “국제사회에서 독도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비대면 문화 확산 흐름을 따라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온라인을 활용한 사이버전략센터 K-독도 홈페이지, 유튜브, SNS, 메타버스 독도 가상체험 등을 통해 글로벌 K-독도 홍보에 적극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경북도 독도위원들을 중심으로 한·일 관계와 해양과학, 수산자원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날 민관합동회의에서는 울릉도·독도의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실리를 찾는 방안도 제시됐다.
독도 해녀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독도 인근 바위 공식명칭 부여, 독도 온라인탐방 안내, 3차원 영상물과 4차원 시뮬레이터의 활용 등 다양한 연구와 정책을 추진해 주권국으로서 독도 영토의 지속 가능한 관리 및 이용을 주관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회의는 정재정 경상북도 독도위원회 위원장의 기조 발제에 이어 한·일 관계 발전과 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코로나19 이후 양국 관계 전망과 경북도의 역할에 대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독도평화관리회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철우 지사는 “전 세계에 대한민국 땅 독도가 각인될 수 있도록 관련 다양한 문화·관광 산업을 추진하고 기반인프라 구축을 통해 접근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