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도스토옙스키는 야심만만했다. 스물네 살 때 ‘가난한 사람들’로 데뷔해 ‘고골이 다시 태어났다’라는 칭송을 들으면서 문단에 등장했다. 자신감 넘쳤던 청년은 곧이어 유럽 전역에 몰아닥친 혁명의 물결에 뛰어들었다. 공상적 사회주의자 그룹에 참여해 차르 체제를 비판하고 농노 해방을 꿈꾸다 동료들과 함께 체포돼 사형선고를 받았다.
극적 효과를 노린 차르의 정치 쇼에 불과했으나 영문도 모른 채 처형장에 섰던 도스토옙스키는 큰 충격을 받았다. 마지막 순간 차르의 자비로 풀려난 그는 곧장 시베리아 유형에 처해졌다. 죽음의 체험에 이은 혹독한 유형 생활은 도스토옙스키의 인생을 완전히 바꾸었다. 자전적 소설 ‘죽음의 집의 기록’에는 고란치고프라는 인물의 입을 빌려서 그 과정이 생생히 기록됐다.
죽음의 집, 즉 시베리아 수용소에서 그는 네 해 동안 발목에 족쇄를 매단 채 밀수꾼, 위폐범, 살인범, 강도 등 극악한 범죄자들과 뒤섞인다. 좁은 감방에 서른 명이 한데 뒤엉켜 서로 욕하고 조롱하고 비난하는 장면, 사방 열둘 걸음밖에 안 되는 방에 여든 명이 우글대면서 벌거벗고 몸을 씻는 목욕탕 장면, 광기에 사로잡힌 형리들이 무자비하게 채찍을 휘둘러 태형을 가하는 장면 등은 비인간성의 극단을 보여준다. 깨끗하고 우아하게만 살았던 오만한 귀족 청년에겐 속이 뒤집히는 듯한 충격이었을 것이다.
지옥에서 생존하려면 인간도 악마가 될 수밖에 없다. 귀족적 고결함을 버리고 그는 자신을 괴롭히는 동료들의 천박함을 흉내 낸다. 자신이 닮고 싶지 않은 존재를 닮는 전락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한계가 뚜렷하다. 타고난 신분과 삶의 경로가 다르므로 끝내 거리는 좁혀지지 않는다. “당신이 어떻게 우리 동료입니까”라는 어쩔 수 없는 고독과 간극이 찾아온다.
얻은 것이 없진 않다. 경멸의 마음을 버리고 자신과 민중을 똑같은 존재로 대하면서 도스토옙스키는 인간 모두가 생생한 개성이 있음을 깨닫는다. 닮으려 행했던 정밀한 관찰을 통해 죄수 각각이 나름의 사연과 독특한 죄의식을 품고 있을 뿐 아니라 극도로 험악한 환경에서도 여전히 소박하고 솔직하며 정의롭고 공정함을 간직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인간은 누구나 벌레이면서 스스로 성인(聖人)이다.
그러니 선민의식에 젖어 민중을 대변하겠다고 설친 자신이 얼마나 우스운가. 이를 깨닫자마자 그는 철저한 자기비판에 나선다. 페테르부르크에 만연한 서구 추종을 깨끗이 씻어내고 인간에 대한 연민과 사랑, 러시아적 영성에 대한 믿음, 복잡한 인간 심리의 관찰자로 거듭난다. 죽음의 체험, 극한의 억압, 자유의 갈망, 밑바닥 생활, 내적 비판 등이 뭉쳐져 자신을 완벽하게 변화시킨 것이다. 지식인 같은 먹물들은 이처럼 산 채로 죽음을 겪는 듯한 고통의 경험과 함께 철저한 자기비판을 통해 삶을 통째로 바꿀 수 있다.
하층민은 변화 경로가 다르다. 연극 등을 통한 강렬한 자유의 경험이다. 비통하게 고통받는 그들은 기쁨의 체험을 통해 스스로 각성한다. 죄수들이 성탄절 공연을 마치고 만족해서 잠드는 장면은 작품의 한 절정에 해당한다. 시베리아에서는 워낙 드문 구경거리라 공연을 보려고 죄수들은 물론 마을 사람들까지 몰려든다.
비참하게만 살아온 그들은 연극을 공연하면서 자기 재능을 발휘하고 사람들 주목과 박수를 받는다. 단 한 차례도 인정받지 못한 삶이 생전 처음으로 자기 가치를 발견한 것이다. 도스토옙스키는 말한다. “얼마나 많은 재능과 실력이 러시아에서 가끔은 아무런 쓸모없이 부자유와 힘겨운 운명 속에서 파멸해 가고 있는가.”
우리 사회도 다르지 않을 터이다. 심각한 양극화에 절망한 서민들에게 필요한 것은 시혜를 베풀겠다는 어쭙잖은 선민의식과 사다리 걷어차기가 아니라 감옥을 무대로 바꾸어 누구나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기회의 장이리라. 누가 그 일을 할까. 다가오는 선거에서 반드시 물어야 할 질문이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