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다음 달 2일 개학 후 2주 동안 학교들이 전면 원격수업을 포함해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하도록 권고했다. 다음 달 초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자 정부 방침인 ‘새 학기 정상등교’에 얽매이지 말고 학교별로 전면 원격수업까지 고민해 보라는 메시지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1일 ‘새 학기 오미크론 대응 비상 점검·지원단’ 회의를 주재하고 다음 달 2일부터 11일까지를 ‘새 학기 적응주간’으로 운영키로 했다. 이 기간에는 수업시간 단축이나 밀집도 조정 등을 통해 탄력적으로 학사를 운영하도록 했다. 특히 전면 원격수업까지 염두에 두고 학교를 운영해 달라고 주문했다.
교육부는 지난 7일 새 학기 방역 및 학사운영 방안을 발표하면서 “학교가 통째로 원격수업에 들어가는 것은 지양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다음 달 초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입장을 바꿨다.
교육부 관계자는 “7일 발표 당시에는 학교 단위 원격수업은 신중히 해달라고 했으나 최근 감염병 전문가들이 3월 초부터 중순까지 오미크론 변이 상황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학교 단위 전면 원격수업은 7일 발표된 학사 운영 유형 중 하나였고 적응기간 이후에도 학교장 판단으로 원격수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계속 달라지는 정부 입장에 현장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세종시의 예비 초등학생 학부모인 이모(38)씨는 “정부에서 이것저것 내놓고 있는데 초등 저학년은 매일 학교를 간다고 했다가 또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고 방역 상황이 유동적이라는 걸 고려하더라도 오락가락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부터 새 학기 오미크론 비상체계로 전환했다. 부총리나 차관 주재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교육국장, 교육지원청 교육장들이 참여하는 회의를 매주 개최한다.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176개 교육지원청 사이에 유·무선 직통전화도 구축해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기로 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