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박모(29)씨는 21일부터 청년희망적금 접수가 폭주했다는 소식에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5부제 신청제에 따라 박씨의 신청 차례는 24일이 돼서야 찾아오기 때문이다. 예산이 한정된 탓에 일각에선 ‘선착순 마감’ 가능성까지 거론됐지만 박씨같은 사람들은 아직 이렇다할 안내조차 받지 못한 상황이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1개 시중은행은 이날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하고 가입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청년희망적금은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상품이다. 은행 이자·저축장려금·비과세 혜택 등을 종합하면 연 10% 수준의 이자 혜택이 제공된다.
당초 정부의 예상보다 가입 수요가 폭증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 상품 가입이 시작되자마자 KB국민은행 모바일뱅킹 앱 ‘KB스타뱅킹’에서는 로그인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신한은행 ‘SOL’에서는 전자서명, 인증서 입력 등 단계에서 오류가 나타나며 소비자들이 불편을 호소했다. 그 외 NH농협은행 모바일뱅킹 앱의 ‘청년희망적금 가입’ 메뉴에서도 접속 오류가 발생하는 등 이용자 급증에 의한 전산 장애가 속출했다.
다수 시중은행 뱅킹 앱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타난 이유는 청년희망적금 가입 신청자가 정부 예상을 훌쩍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연 10% 수준의 이자가 주어진다’는 입소문이 퍼지며 월초부터 대기 수요가 폭증했다. 은행권에서는 이 같은 일이 예견된 상황이었다는 뒷말이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앱이 감당 가능한 동시접속자 수는 일정한 상황에서 대규모 가입수요가 몰리면 전산 장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누가 봐도 예상되는 상황이었는데 금융당국에서는 따로 대응 지침조차 전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첫날부터 은행권 서버가 마비될 정도로 수요가 폭증하며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려 했던 수요자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예산이 조기에 소진되면 가입에 실패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올해 청년희망적금 사업예산은 456억원으로, 가입자들이 모두 최대 납입액(50만원)을 낸다고 가정하면 최대 38만명만 가입할 수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까지 5대 시중은행(KB국민·하나·우리·신한·NH농협은행)에서만 200만건의 ‘가입가능 여부 미리보기’ 신청이 접수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청년희망적금 가입이 선착순으로 마감될 수 있다”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이에 금융위는 5부제 기간 신청자는 현재 배정된 예산과 무관하게 모두 접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아울러 기획재정부와 관련 예산 증액에 관해 협의하고 있다. 금융위와 기재부는 예산 증액 방향에는 이견이 없으며, 예산 증액 방식과 증액 확정 시기 등 기술적인 문제를 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예산 증액 방식으로는 예비비 사용, 추가경정예산 반영, 내년 예산 반영 등이 거론된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