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1일 “오미크론 확산으로 방역과 경제에 대한 국가의 무한책임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당선 직후 제1호 지시사항으로 루스벨트식 신속대응 기구인 ‘코로나피해 긴급구제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속도감 있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10만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위기 극복 총사령관’ 이미지를 부각시킨 것이다. 또 청소년 방역패스 폐지 검토를 언급하며 현 정부와의 차별화 기조도 분명히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코로나 피해 극복과 대응 방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3월 10일(대선 다음 날) 이후 대한민국의 코로나 대응은 확실하게 바뀔 것”이라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곧 코로나피해 긴급구제 특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특위의 위상에 대해 “(코로나 극복이) 제1의 과제가 됐으니 최고 지위와 권한을 가지게 될 것”이라며 “특위가 법률상의 조직은 아니지만, 당선인 또는 대통령이 관심을 두고 직접 관할하기 때문에 충분한 권한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정부를 향해 3차 부스터샷 접종자의 거리두기 제한을 밤 12시까지 완화할 것을 재차 요구했다. 그는 “영업시간 제한을 밤 10시까지 연장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6인에서 8인, 10인으로 집합 인원을 늘릴 수 없다면 3차 접종자만이라도 (식당 등에) 더 머물 수 있도록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당선되면 3월 10일부터 당국과 협조해 바로 거리두기 완화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인은 현직 대통령과 상의해 얼마든지 (거리두기 조정을) 시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의약품 구입 명목으로 재택치료자 1인당 10만원의 추가 지원금 지급을 약속했다. 3월 전면 등교 지침과 관련해선 “교육 현장의 불안과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며 “3월 한 달은 (등교수업과) 원격수업 병행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등교 전 주 2회 검사 권고에 대해서도 “사실상 강제일 수밖에 없다”며 유증상자에만 진단키트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이 후보는 또 “코로나로 생긴 불량부채는 정부가 인수해 채무조정과 탕감을 하고, 코로나로 인한 신용불량은 전면적으로 원상 복구하는 신용 대사면을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오미크론의 강력한 전염력에 따라 K방역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한 손에는 유연하고 합리적인 스마트 방역을, 다른 한 손에는 온전한 보상과 책임을 들고 국민 속으로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경기지사 시절 15곳의 공공기관을 경기 북부로 옮겼던 일을 소개하며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 전 국토 균형발전을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