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결과 통지서를 보면 간수치(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가 나온다.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인 ALT는 간이 손상되면 혈류로 방출되며 혈중 농도가 올라간다. ALT 수치 상승은 황달 같은 간손상의 명확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감지되므로 혈액검사를 통해 조기에 간손상을 파악할 수 있다. ALT 수치가 남성은 34U/L, 여성은 25U/L 이상이면 비정상에 해당된다.
이렇게 ALT가 높은 사람은 간에 기저질환이 없더라도 술을 완전히 끊는 게 좋겠다. 하루 소주 1~2잔, 생맥주 300㏄ 1잔 혹은 500㏄ 1캔 정도의 가벼운 음주도 사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팀이 2009~2015년 적어도 1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들 중 기저 간질환이 전혀 없었던 36만761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음주량은 미국 간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음주, 가벼운 음주(여성 하루 알코올 섭취량 10g, 남성 20g 미만), 보통 음주(여성 10~40g 미만, 남성 20~60g 미만), 문제성 음주(여성 40g 이상, 남성 60g 이상)로 구분했다. 알코올 10g은 소주 1잔, 맥주 300㏄ 1잔(혹은 캔)에 들어있는 분량이다.
연구 결과 ALT 수치가 정상인 그룹은 가볍게 혹은 보통 음주하는 정도는 모든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ALT 수치가 높은 그룹은 가벼운 음주자 및 보통 음주자가 비음주자 대비 각각 1.57배, 2.09배 간질환으로 숨질 위험이 높았다. 연구팀은 또 “간질환 원인 외에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전반적인 사망률 또한 ALT 수치가 높은 그룹은 보통 음주량만 마셔도 사망 위험이 비음주자 대비 약 31% 높았다”고 설명했다.
곽금연 교수는 21일 “간질환은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간손상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음주를 지속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기저 간질환이 없더라도 ALT 수치가 높은 사람은 완전 금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