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한 각 부처에서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처하는 각 부처의 대응이 과거와 확연히 달라졌다. 확진자 동선 안내나 발생 부처 출입 차단 조치가 사라졌다. 공식적으로 발표는 못하지만 사실상 코로나19를 ‘감기’로 취급하는 모양새가 역력하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사흘 간 12명의 기재부 내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례적으로 많은 숫자지만 어떤 부서 인원이 감염됐는지와 관련한 부처 내 동선 안내는 하지 않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같은 부서 인원 검사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굳이 공포감을 조성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판단에 필요시에만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부처도 상황이 비슷하다. 이날만 해도 기재부뿐만 아니라 국무조정실 등 8개 부처에서 확진자가 나왔지만 예전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는 않는 분위기다. 각 부처들은 얼마 전만 해도 확진자가 근무하는 부서가 위치한 층은 엘리베이터 운행을 중단할 정도로 강력하게 대처했다. 발생 부처와 비발생 부처 사이 연결 통로를 폐쇄하는 조치도 취했다. 하지만 일일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선 이번달 이후 이런 조치는 찾아보기 힘들다.
관가 안팎에서는 사실상 정부가 사후 방역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현재 정부세종청사 각 부처들은 재택근무, 연차 사용, 사적 모임 제한 등 예방 조치를 시행 중이다. 하지만 이를 아무리 잘 지켜도 어린이집이나 학교를 통한 가족 내 전파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확진자가 중증으로 갈 가능성이 낮아진 점도 풀어진 방역에 영향을 미쳤다. 정부 관계자는 “델타 변이에 비해 중증도도 낮고 일주일 자가격리 후 복귀 가능한 만큼 업무 지장이 없는 선에서 통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이제는 거의 감기 취급하는 듯하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