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에 육박하면서 우려했던 사회 필수인력 부족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의료진이 감염돼 수술이 연기되거나 응급실에서 진료 차질이 빚어지는 병원이 속출한다. 경찰서와 소방서에서는 3교대를 2교대로 바꾸고 긴급출동만 남긴 채 급하지 않은 업무를 보류하는 곳이 늘고 있다. 아직은 사회 필수기능이 마비될 정도로 심각한 게 아니지만 오미크론 유행이 언제 정점을 찍을지 알 수 없어 불안감은 높아가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업무연속성계획(BCP)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경찰청, 소방청, 대형 병원 등 사회 필수시설 유지를 담당한 주요 기관은 이에 맞춘 비상계획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BCP 시행 기준이 하루 확진자 5만명에 맞춰졌고, 긴박한 현장의 상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일선에서의 고충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무엇보다 하루 확진자 5만명이 넘은 지 1주일이 지났는데 가장 절실한 인력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퇴직자를 활용하고, 행정 인력을 대거 투입한다고 했지만 말뿐이다. 현장에서는 조금도 체감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위에서는 계획 짜라고 지시하고, 아래에서는 계획서 만들어 보고하는 게 대책의 전부가 된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이미 한계를 넘은 보건소의 업무 과중을 해소할 방안도 당장 마련해야 한다. 코로나 방역체계 전환과 확진자 급증으로 업무가 폭증해 보건소의 기존 인력과 시스템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게 됐다. 직원들은 연일 자정을 넘겨 퇴근하고, 새벽에 다시 출근하는 살인적 비상근무를 하고 있지만 끝이 보이지 않는다고 호소한다. 방역의 출발점인 보건소의 고충을 무시한 코로나 대책은 있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