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발레단이 올해 창단 60주년을 맞아 첫 번째 작품으로 ‘주얼스’(사진)를 공연한다. 오는 25~27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르는 ‘주얼스’는 조지 발란신(1904~1983)의 걸작 가운데 하나로 최초의 전막 추상 발레다. 발란신은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으로 음악 자체를 표현하는 ‘음악의 시각화’, 즉 신고전주의 발레를 완성해 20세기 발레에 큰 영향을 끼쳤다.
뉴욕시티발레단이 1967년 초연한 ‘주얼스’는 발란신이 세계적인 보석 브랜드 반클리프&아펠 가문과 교류를 계기로 보석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 3막으로 이뤄졌으며 각각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몬드를 모티브로 했다. 무용수들이 보석의 색깔인 초록색, 빨간색, 흰색 튀튀를 입는 게 특징이다.
1막 ‘에메랄드’는 포레의 오페라 ‘펠리아스와 멜리장드’ 및 극부수음악(연극을 위한 음악) ‘샤일록’을 바탕으로 프랑스 궁정의 귀족주의와 낭만주의 발레의 유산을 담았다. 2막 ‘루비’는 스트라빈스키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카프리치오’로 재즈의 영향을 받은 미국 스타일의 재기발랄한 동작을 표현했다. 3막 ‘다이아몬드’는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3번 4악장과 함께 러시아 황실에서 태어난 고전발레의 형식미를 그렸다.
국립발레단은 지난해 ‘주얼스’를 선보여 발레 애호가들의 관심을 모았다. 올해 재공연은 2009년 입단해 많은 작품에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 수석무용수 신승원의 고별 무대다. 국립발레단은 신승원과 팬들을 위해 ‘주얼스’ 공연 마지막날 퇴단 이벤트를 연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