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휴일 휴무제·수능 상시 실시제·학교선택제… 기독 교육단체들, 대선 후보에 교육 공약 제안

입력 2022-02-17 03:01

기독교 교육단체가 대선 후보들에게 교육 공약을 제안했다. 단체들은 학생들이 쉴 수 있도록 학원 휴일 휴무제를 도입하고 종교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교 선택과 회피의 자유를 줘야 한다는 등 7개 주제, 14개 공약을 담은 제안을 내놨다.

기독교 교육단체는 16일 화상회의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의 교육 공약을 발표했다. 발표는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사학법인미션네트워크가 주관했고 교목전국연합회, 기독교학교정상화추진위원회, 기독학부모운동, 한국기독교학교연맹, 한국기독교학교연합회가 ‘2022 대통령 선거 교육공약 제안 기독교연대’라는 이름으로 함께했다.

발표에 앞서 이들 단체는 지난달 교육학자 등 전문가와 1차 협의를 진행했고 이달 초 대선 교육공약 제안서 초안을 작성했다. 이후 관련 전문가와 단체들의 의견을 수렴, 반영했다.

박상진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장은 “하나님은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신음을 듣고 모세를 통해 이들을 가나안 땅으로 이끌었다”며 “교육의 노예가 된 아이들을 교육의 가나안 땅으로 이끄는 게 기독교 교육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제시한 공약은 특정 후보나 정당, 이념에 치우치지 않았고, 기독교 학교 관련 교육 정책에 국한하지도 않았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교육 전반에 대한 대안을 제안했다.

먼저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학생들이 쉴 수 있도록 학원 문을 닫게 하는 학원 휴일 휴무제를 제안했다. 수학 능력을 검증하자는 취지에 맞게 학생들이 언제든 시험에 응시하는 수능 상시 실시제도 요청했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학교 선택과 회피 및 전학할 자유를 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무엇보다 종교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생이 원하면 종교계 학교를 선택하고 원치 않으면 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이들 단체의 설명이다.

사학의 정체성과 본질을 회복하도록 자율성을 확대하고 사학이 자정 노력을 기울여 발전하도록 사립학교 진흥법을 제정해야 한다고도 했다. 국회는 지난해 사립학교 교원 채용시험을 시도 교육감에게 강제로 위탁하는 내용이 담긴 사학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특히 사학 비중이 높은 기독교 학교들의 반발이 컸다.

박 소장은 “개정된 사학법은 건학이념과 자율성을 해치는 위헌적 요소가 있다. 사학법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게 기독 사학들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교육의 다양성과 탁월성을 위해 자사고와 특목고를 존치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중점학교를 지정해야 한다고도 했다. 학부모와 학생이 학교를 선택하는 교육 바우처 제도, 고등교육의 수도권 집중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 균형발전 지원도 제안했다. 또 새로운 교육 운동으로 꼽히는 대안교육과 홈스쿨링을 지원하고 교육복지 강화를 위한 특수학교와 학급 확대, 최소학습 보장제도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기독교 교육단체는 이날 나온 내용을 질의서 형태로 정리해 대선 후보 캠프에 발송한 뒤 다음 달 2일 각 캠프로부터 받은 답신을 후보별 교육 공약과 함께 분석, 발표할 예정이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