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에 짙게 드리운 전운이 가시질 않는다. 러시아가 16일(현지시간) 침공할 거라는 외신 보도가 잇따르는 가운데 우크라이나는 이날을 ‘단합의 날’로 선포하며 자국민의 항전의지를 고취시키고 있다. 파국을 막기 위한 미국 등 서방국과 러시아 간 외교 협상이 이어지고 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러시아 침공이 임박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국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무력을 동원해 타국을 침략하는 행위는 전쟁범죄로 다스려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러시아가 끝내 침공을 감행할 경우 전력에서 절대 열세인 우크라이나의 패전은 정해진 수순이나 다름없다. 우크라이나군 스스로도 서방의 지원이 없으면 결과가 뻔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러시아의 오판을 저지하기 위해서라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절실하다. 미국은 미군을 우크라이나 인접국에 전진 배치한 데 이어 대전차 미사일 등 무기와 전투장비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했다. 영국 캐나다 등 지원대열에 동참하는 서방국가들도 늘고 있다. 세계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자구책이다. 국제사회가 한국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은 최근 브리핑에서 “한국이 가시적인 방식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경우 우크라이나인들이 환영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한국의 지원을 희망했다. 그 결정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행할 주권적 사안이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요청을 마냥 외면하긴 어렵다. 파병 등 직접적인 군사지원은 불가하더라도 비군사적 지원은 가능하다고 본다. G10으로 성장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그에 걸맞은 역할을 해야 한다.
[사설] 우크라이나 사태, G10 위상에 걸맞은 우리 역할 해야
입력 2022-02-16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