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거주하던 30대 여성 A씨는 경남 거제시에 한 달간 체류하며 여행을 다녔다. 거제의 아름다움에 반한 A씨는 가족과 함께 이주를 결심하고 현재 정착해 살고 있다.
B씨는 영화 ‘리틀포레스트’의 시골 정취에 감명받고 ‘리틀컨트리클럽’을 만들어 남해에서 한 달 살이를 했다. 다랭이마을 민박에서 지내며 바다수영·패러글라이딩 등 다양한 체험으로 삶의 활력을 되찾았다. 남해의 작은 유럽 마을인 독일마을에서는 코로나19로 오랫동안 못 한 해외여행의 아쉬움을 달랬다.
코로나19 속에 쉼과 즐길거리를 동시에 선물하는 ‘경남형 한 달 살이’가 새로운 인생을 설계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주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15일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경남형 한 달 살이’에 참가한 도시민은 829명이다. 1555명이 지원해 2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호응을 얻었다.
만 39세 이하의 젊은 층이 약 60%(488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40·50대 각 15.6%, 60대 이상은 10%를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서울(30%)·경기(23.3%)·인천(4.9%) 등 수도권 참가자가 60%에 이른다. 이어 부산(14.4%), 대구(7.6%) 등의 순이다.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외국인도 5명이나 참가했다. 체류기간은 3일 이상 7일 이하가 65.4%(542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 달을 꽉 채운 참가자도 55명이나 됐다.
‘경남형 한 달 살이’는 최대 30일까지 체류하면서 현지인처럼 체험하고 관광하며 개인 누리소통망에 알리는 경남도의 시책이다. 참가자에는 팀별(1~2명) 하루 최대 5만원의 숙박비와 여행기간 내 1인당 최대 8만원의 체험료가 지원된다.
2020년 처음으로 5개 시·군에서 시범적으로 한 달 살이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지난해에는 15개 시·군으로 확대했다. 획일적인 프로그램 운영보다는 참가자가 개별적으로 자유여행을 하도록 유도했다.
참가자들이 경남에서 살아 본 소감은 그대로 경남을 알리는 관광 효과로 이어진다. 지난해 소셜미디어에는 1만1914건의 여행 기록이 올라갔다. 1인 평균 14.4건의 경남관광 콘텐츠를 홍보하면서 경남의 관광 홍보대사 역할도 하고 있다는 평가다.
도는 ‘경남형 한 달 살이’를 ‘경남에서 한 달 여행하기’로 바꾸고 올해부터 전 시·군으로 확대해 시행한다. 3월부터 시·군에서 참가자 모집을 시작한다. 심상철 도관광진흥과장은 “여행지를 더 많이 발굴해 참가자들이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