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군 확진자 증가세에 정부가 결국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 카드를 꺼냈다. 면역저하자와 요양병원·시설 관련자 등 180만명이 우선 접종 대상이다. 정부는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확대하는 방안은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방역 당국은 14일 3차례 백신 접종을 마친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130만명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대상자들은 카카오·네이버 당일예약과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활용해 곧바로 접종받을 수 있다. 다음 달부터는 요양병원·시설의 입원입소자와 종사자 50만명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4차 접종이 진행된다.
3차 접종 뒤 120일이 경과한 이들이 원칙적으로 4차 접종 대상이다. 다만 출국이나 수술 등의 개인 사유가 있다면 3개월만 지나도 맞을 수 있다. 4차 접종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쓰인다.
방역 당국은 유행 바이러스의 종류에 맞춘 ‘업데이트 백신’ 대신 기존 백신을 반복 접종하는 전략이 주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해외 일각의 주장에 대해 “근거가 부족하다”며 선을 그었다. 안전성 문제와 관련해서도 외국 선례에 비춰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과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이 일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시작했다.
앞으로 4차 접종이 의료진, 나아가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될지는 미지수다. 확진자 억제가 아닌 중증화 예방에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초고위험군’에게 접종 선택권을 열어주고 요양병원 (집단감염)에 개입하는 취지지, 일반 인구집단에까지 권고할 수준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에선 코로나19 고위험군의 대표격인 60세 이상 고령 인구 집단이 별도로 포함되지 않았다. 요양병원·시설 이용자와 그렇지 않은 이들 간에 치명률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분석 결과 똑같이 3차 접종을 마친 요양병원·시설 관련자의 위중증률은 60~74세 대비 13배가량 높았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