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윤성호 중앙대 교수와 공동으로 석유화학 기반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사진)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는 포장재, 의료용 제품, 화장품 용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 플라스틱 소재보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저감 효과가 우수하며, 다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일반 자연과 해양에서 훨씬 잘 분해되는 친환경 고부가 소재다.
롯데케미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서강대학교 C1 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윤성호 중앙대 교수의 자체 개발 촉매 기술을 활용, 공동연구를 통해 2023년까지 석유화학 기반의 PHA 생산기술 확보 및 제품 용도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상업화되면 석유화학 원료 기반으로는 세계 최초의 생산 사례가 된다.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 기반의 제조 공정이 상업화되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제품 양산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PHA는 미생물 원료를 활용하여 생산되는데, 원료 수급이 어렵고 생산규모가 작기 때문에 제품가가 비싸고 가격경쟁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의 수요가 매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회사 측은 이 제품이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 세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는 지난해 약 97만t에서 2026년 약 200만t에 달하는 등 연 평균 14%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