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크라이나 사태 충격 최소화할 특단 대책 마련하라

입력 2022-02-14 04:07
우크라이나에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오는 16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는 미국발 뉴스가 나온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대사관 및 교민 철수를 서두르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총성이 울릴 경우 세계 경제에 미칠 악영향이 지대한 만큼 우리 경제에도 큰 타격이 우려된다. 정부의 기민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약 1시간 동안 우크라이나 사태를 논의했지만 끝내 진전을 보지 못했다. 앞서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남아 있는 자국민에게 출국 명령을 내렸고 우리 외교부도 13일 0시를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전역을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 교민 철수를 권유했다. 러시아는 16일 침공설을 가짜뉴스라 일축했지만 정작 현지 대사관 직원들에게 철수를 명해 전쟁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의지와 인접국 러시아의 반발로 야기된 우크라이나 사태는 어느덧 레드라인까지 밟을 태세다.

러시아 침공으로 미국 등 서방의 제재가 있을 경우 글로벌 경제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원유와 천연가스 등 주요 원자재 생산국인 러시아의 교역이 틀어막히면 코로나19로 불거진 글로벌 공급망 병목과 인플레이션 확산이 심화될 게 뻔하다. 실제 국제원유가는 우크라이나 위기로 최근 배럴당 95달러까지 올랐다. 전쟁이 터지면 150달러까지 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원자재가 급등으로 14년 만에 두 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한 우리나라에도 우크라이나 사태는 남의 일이 아니다. 물가, 소비에 직격탄이 되고 자본 유출도 우려된다.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상정해 비축유 방출 등 특단의 대책을 모색하고 기업·가계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할 방안을 속히 마련해야 한다. 300여명의 교민 안전과 긴급 철수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