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폐 충돌’ 동상이몽… 與 “친문 결집” 국힘 “정권교체론 강화”

입력 2022-02-12 04:06
왼쪽 사진부터 이재명, 윤석열 대선후보.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문재인정부 적폐 수사’ 발언에 문재인 대통령이 ‘강력한 분노’를 표하면서 여야는 이번 충돌의 후폭풍에 주목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친문(친문재인) 지지층이 결집 중”이라며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반등을 기대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정권교체 여론이 더 강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민주당은 특히 이 후보에게 마음을 열지 않던 친문 여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변화가 감지된다고 밝혔다. 선대위 관계자는 11일 “문 대통령의 사과 요구가 나온 지 하루 만에 친문 여초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적폐 수사’ 발언에 빠르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선대위 내부에서는 이 후보에 대한 비토 성향이 강했던 친문 여성층이 예상보다 빠르게 결집 중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전했다.

선대위는 문 대통령의 격한 감정 표출이 당내 ‘노무현 트라우마’를 강하게 자극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문 대통령을 노 전 대통령처럼 잃을 수는 없다는 공감대가 지지층 내에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건영 의원 등 문재인정부 청와대 출신 의원들은 성명을 내고 “(윤 후보는) 문 대통령을 향해 칼 끝을 겨누고 있다”며 “문 대통령을 지켜 달라”고 호소했다.

선대위는 30% 후반대에 갇힌 이 후보 지지율이 반등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이슈를 40%가 넘는 문 대통령 지지율 중 이 후보로 옮겨오지 않던 표심을 흡수할 계기로 보는 것이다.

반면 윤 후보 측은 전혀 다른 입장이다. 문 대통령까지 끌어들여 선거에 활용하려는 이 후보 측의 전략에 중도층이 반감을 가질 것으로 예상한다.

국민의힘 선대본부 관계자는 “윤 후보의 발언은 평소 소신을 원론적으로 얘기한 것이지 진영을 갈라서 표 결집을 하려는 시도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이 후보에게 반감을 가진 사람들은 이 후보가 문 대통령을 활용하려는 의도를 간파하고 있기 때문에 반이재명 진영이 더 견고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윤 후보가 “제 사전에 정치 보복이란 단어는 없다”며 극한 대치를 피했기 때문에 민주당 지지층 결집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양당은 이날도 윤 후보 발언을 두고 난타전을 이어갔다. 이낙연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은 “한국 민주주의의 위대한 성취를 야당 후보가 부정하는 듯한 언동”이라며 “난폭한 검찰주의로는 법치주의 발전을 이룰 수 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과 이 후보를 동시에 공격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 말 한마디에 월성원전 경제성 평가 보고서를 조작해 혈세 7000억원을 공중 분해한 범죄를 그대로 덮어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석준 의원은 “내가 하면 적폐 청산이고, 남이 하면 정치 보복”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발표된 여론조사는 들쭉날쭉한 결과를 보였다. 한국갤럽이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 후보는 36%, 윤 후보는 37%의 지지율을 기록해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었다. 반면 리서치뷰가 9~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윤 후보가 48%를 얻어 36%인 이 후보를 오차범위(6.2% 포인트) 밖에서 앞섰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정현수 이가현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