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가 감사를 통해 김원웅 광복회장의 공금 횡령 혐의를 확인하고 10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광복회 사무실을 친인척 회사가 무상 사용하게 한 사실도 드러났다고 보훈처는 밝혔다. 김 회장은 광복회 내부 인사의 제보와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된 비위 의혹을 부인해 왔지만 보훈처 감사에서 상당 부분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독립유공자와 유족으로 구성된 광복회의 수장이 이런 부도덕한 행위를 했다니 참담할 따름이다.
보훈처에 따르면 김 회장은 광복회가 운영하는 국회 내 카페의 운영 수익을 일부 빼돌려 사적인 곳에 사용했다. 중간 거래처를 활용해 허위 발주나 원가 과다계상 등으로 총 6100만원의 비자금을 조성해 자신의 옷 구매비와 이발비 등으로 썼고 자신이 설립한 학교 공사비와 장식품 구매비로도 사용했다고 한다. 수익금 전액을 독립유공자 후손 장학사업으로 쓰겠다는 조건으로 국회 사무처로부터 임대료 없이 카페 공간을 얻어놓고는 이런 짓을 했다.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 사무실과 집기를 친인척이 설립한 골재 채취 업체에 무상으로 제공한 것도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한, 결코 해서는 안 될 일이었다. 이 업체는 광복회장 명의의 협조 공문을 국방부와 여주시 등에 발송하기도 했다고 한다. 김 회장이 광복회를 사유화하다시피하며 전횡을 휘두른 것이다.
김 회장은 2019년 6월 제21대 광복회장에 취임한 후 숱한 구설에 오른 인물이다. 편협된 역사 인식, 정제되지 않은 표현, 정치적 편향성 등으로 여러 차례 논란을 초래해 광복회 내부에서조차 자격 시비가 끊이지 않더니 이번엔 횡령 등 혐의로 수사까지 받게 됐다. 김 회장은 보훈처 감사 결과에 대해 “명백한 명예훼손이고 편향적 발표”라며 반발했으나 비자금 가운데 1000만원이 김 회장 통장으로 입금된 후 여러 단계를 거쳐 현금화된 정황 등으로 볼 때 설득력이 부족하다.
보훈처 감사 결과와 수사 의뢰만으로도 김 회장은 광복회의 명예를 심각하게 실추시켰다. 보훈처가 카페 사업 승인을 취소키로해 경제적 손실도 끼치게 됐다. 신뢰를 잃을대로 잃은 만큼 책임을 통감하고 즉각 물러나야 마땅한데도 김 회장은 사퇴 의사가 전혀 없다며 버티고 있다. 광복회의 명예가 땅에 떨어지든 말든 자리를 지키겠다는 몰염치와 아집에 말문이 막힌다. 보훈처가 해임할 권한이 없는 만큼 광복회 회원들이 탄핵을 추진해야 한다. 경찰도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로 단죄해야 할 것이다.
[사설] ‘횡령’ 김원웅 광복회장 당장 사퇴해야
입력 2022-02-12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