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세종 이전 추진을 계기로 ‘낡은’ 금융허브 여의도가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탈바꿈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선 유력후보들이 여의도 개발공약을 발표했고, 영등포구도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10일 조달청에 따르면 영등포구는 최근 국가종합전자조달체계(나라장터)를 통해 ‘여의도 디지털국제금융중심지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공고를 게시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동여의도(샛강역)부터 서여의도(국회의사당)에 이르는 여의도 부지에 핀테크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금융환경이 은행·카드·증권 등 전통산업에서 핀테크·가상자산 등으로 변화했다는 점에 착안해 여의도 일대에 핀테크 기업과 스타트업을 대거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 계획에는 국회의사당 부지를 핀테크 집적단지로 재구성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국회가 세종시로 이전한 뒤 해당 부지에 핀테크 스타트업을 유치하고 관련 산업인프라를 설치하는 등 구체적인 활용방안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여의도에 핀테크 기업을 대거 유치하겠다는 계획은 정치권에서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지난달 21일 ‘대전환의 시대, 글로벌 경제·문화를 선도하는 서울을 위한 7대 공약’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이 후보는 공약 발표식에서 “대한민국 금융중심지 여의도를 핀테크, 빅테크가 융합하는 미래금융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에는 더불어민주당 김민석·송재호·홍성국·강준현 의원이 국회 정론관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세종으로 국회가 이전한 뒤 기존 국회 부지는 핀테크·바이오랩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이 같은 청사진이 실현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우선 세제 혜택·재정지원 등 문제는 세금 운용을 담당하는 중앙정부나 서울시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금융산업을 직접 지원하는 방안도 금융당국의 제도적 개선 의지가 있어야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다. 영등포구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여의도 핀테크단지 조성개발안을 작성하고 각 주체와 협의해 개발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