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제조업의 일자리 순증가율이 둔화하면서 고용부진의 늪에 빠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고용부진이 더 심각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10일 ‘지역 일자리 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제조업의 일자리 순증가율(창출률과 소멸률의 차이)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하락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했다.
고용부진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거셌다.
수도권의 경우 2019년 순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반면, 비수도권에선 2016년~2018년 3년 연속으로 마이너스 순증가율(-0.4%, -0.6%, -0.1%)을 보였다.
서비스업 역시 일자리 창출률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2016년 이후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시장 개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 및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 강화’ ‘고부가 서비스산업 규제완화 및 창업 지원 인프라 확대’ ‘초광역권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지원’ 등을 제안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수도권에서는 기업 성장 경로와 산업별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으로 고용창출 효과를 높이고, 비수도권에선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창업 활성화로 지역경제의 역동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