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주중국 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장 대사 동생이 운용하다 수천억원대의 피해가 발생한 사모펀드에 거액을 투자한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은 9일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장하원 대표를 소환 조사했는데 장 대사 부부와 김 전 실장이 이 상품에 각각 60억원, 4억원가량을 넣은 것으로 밝혀졌다. 장 대표는 펀드 부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고도 상품을 출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수익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 투자금을 모아 기존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폰지’ 수법도 사용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한마디로 사기성이 농후한 펀드에 정부 실세들이 거액을 투자했고 결국 뒤를 따른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봤다는 얘기다. 단순히 넘어갈 일이 아니다.
장 대표는 2016년 운용사 설립 후 미국 사모사채를 매입해 수익을 내는 사모펀드 ‘디스커버리 펀드’를 판매했다. 그런데 2019년 4월 미 사모사채 운용사가 수익률 등을 허위 보고한 사실로 펀드 자산이 동결됐다. 국내 투자자들이 받지 못한 투자금이 2562억원에 달한다. 초기부터 ‘장하성 동생 펀드’로 알려진 이 펀드는 2017~18년 비약적으로 성장했는데 장 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부임한 때와 일치한다. 김 전 실장도 이 시기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있으면서 펀드에 가입했다. 정부 경제정책을 총괄한 핵심 2명이 같은 펀드에 억대 이상의 돈을 맡겼다.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은 신생 운용사가 내놓은 첫 사모펀드를 앞장서 판매했다. 실세 입김을 의심케 한다. 이런 펀드에 혹하지 않을 투자자는 없을 것이다.
둘은 법적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고위 공직자가 현직에 있을 때 소수의 자금으로 운용되는 사모펀드에 투자한 것 자체가 부적절한 일이다. 게다가 일반인들이 만기 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것과 달리 두 사람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에 투자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맞다면 특혜가 의심된다. 경찰은 환매 중단 후 3년 가까이 돼서야 장 대표를 소환, 늑장 수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정권 말이라는 이유로 수사가 형식적이어선 안 된다. 손실을 본 수많은 투자자들이 지켜보고 있다. 권력 실세 연루 의혹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
[사설] 권력 실세 투자 디스커버리 펀드 의혹 철저히 수사해야
입력 2022-02-11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