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0억원대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 펀드에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 문재인정부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투자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펀드는 장 대사의 친동생인 장하원 대표가 설립한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에서 출시했다. 두 사람이 펀드 운용과 관련해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9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장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경찰은 장 대표가 신규 투자금을 모아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의 ‘폰지 사기’ 수법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펀드 판매 방식과 구체적인 운용 내역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유력 인사들의 이름과 투자 액수가 적혀있는 이른바 ‘VIP 리스트’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사 부부가 60억원, 김 전 실장이 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 대사와 친분이 있는 고려대 교수들도 일부 포함됐다고 한다.
다만 장 대사와 김 전 실장 모두 ‘특혜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장 대사는 입장문을 내 “위법사항이 없고, 펀드 손실을 보전 받은 바도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실장도 “공직자로서 의무를 위배한 바 없다. 필요하면 투명하게 소명하겠다”고 해명했다.
디스커버리 펀드 판매 규모는 장 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 펀드를 대규모로 판매하면서 친형인 장 대사가 영향력을 미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