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6명이 모두 수습된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에 대한 경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붕괴사고 현장에서는 9일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1차 현장감식이 진행됐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전날 밤 실종자 수색 완료에 따라 이날 오후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과 합동 현장감식을 했다.
수사본부는 압수수색을 통해 붕괴사고가 발생한 201동 23층부터 39층 사이 외벽·바닥에 남은 콘크리트와 부서진 잔해를 드릴로 뚫어 지름 10㎝ 길이 20㎝의 콘크리트 원형 시료 60여개를 확보 중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도 무너진 건물에서 콘크리트 원형 시료 30여개를 채취해 표준 시험체와 층별로 실제 시공된 콘크리트 강도, 파괴 하중 등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수사본부 등은 확보한 콘크리트 시료를 토대로 붕괴사고의 결정적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콘크리트 양생 불량 등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 직원 6명, 감리 3명, 하청업체 관계자 2명 등 총 11명은 업무상 과실치사상과 건축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된 상태다.
광주시와 서구는 피해자가족협의회와 피해자들의 분향소 설치를 논의하는 등 장례절차에 들어갔다. 하지만 피해자 유족들은 현산의 진심 어린 사과와 충분한 보상 약속을 요구하며 장례 절차를 무기한 연기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피해자가족협의회 대표 안모(46)씨는 “현산 측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할 때까지 붕괴현장에 설치한 비닐 천막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시와 서구는 붕괴 아파트 철거 여부를 결정할 정밀 안전진단과 함께 인근 상가 피해보상 협의에 나서기로 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