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손을 잡고 노후 저층주거지의 새로운 정비방식인 ‘모아타운’을 본격 추진한다. 모아타운은 블록단위 ‘모아주택’을 묶어 대단지 아파트처럼 관리하는 모델이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대상지 자치구 공모를 10일부터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마감은 다음 달 21일이다. 시는 각 자치구가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모아타운 대상지를 서울시에 신청하면 선정위원회 평가를 거쳐 최종 대상지를 4월까지 25개 정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는 이번 공모를 국토부와 협력해 진행한다. 국토부가 이달 중 진행할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3차 후보지 선정과 서울지역 모아타운 공모를 통합 추진하는 것이다.
모아타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지는 면적 10만㎡ 미만, 노후·불량건축물이 50% 이상인 지역이다. 다만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정비하는 사업 특성상 재개발 추진·예정 지역 등은 제외된다.
모아주택은 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방식을 활용해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단위로 적정 필지 규모(1500㎡) 이상의 중층 아파트를 개발하는 개념이다. 모아주택 사업이 집단 추진되는 10만㎡ 이내 지역을 묶어 노후주택정비와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모델이 모아타운이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주민들은 용적률 및 층수 완화 등 다양한 혜택을 받고 모아주택을 추진하고, 공공에서는 예산을 투입해 지역 내 부족한 공영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한다. 특히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국·시비로 최대 375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나홀로 아파트 양산과 저층주거지 주차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난해 국토부(13곳)와 서울시(12곳)가 선정한 서울지역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 중 적정한 곳은 모아타운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5년간 모아타운을 매년 20개씩, 총 100개를 지정하고 총 3만호의 신축주택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