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토부 손잡고 ‘모아타운’ 사업 추진

입력 2022-02-10 04:05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강북구 번동 북부수도사업소에서 열린 현장 설명회에서 ‘모아주택’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손을 잡고 노후 저층주거지의 새로운 정비방식인 ‘모아타운’을 본격 추진한다. 모아타운은 블록단위 ‘모아주택’을 묶어 대단지 아파트처럼 관리하는 모델이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대상지 자치구 공모를 10일부터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마감은 다음 달 21일이다. 시는 각 자치구가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모아타운 대상지를 서울시에 신청하면 선정위원회 평가를 거쳐 최종 대상지를 4월까지 25개 정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는 이번 공모를 국토부와 협력해 진행한다. 국토부가 이달 중 진행할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3차 후보지 선정과 서울지역 모아타운 공모를 통합 추진하는 것이다.

모아타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지는 면적 10만㎡ 미만, 노후·불량건축물이 50% 이상인 지역이다. 다만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정비하는 사업 특성상 재개발 추진·예정 지역 등은 제외된다.

모아주택은 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방식을 활용해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단위로 적정 필지 규모(1500㎡) 이상의 중층 아파트를 개발하는 개념이다. 모아주택 사업이 집단 추진되는 10만㎡ 이내 지역을 묶어 노후주택정비와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모델이 모아타운이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주민들은 용적률 및 층수 완화 등 다양한 혜택을 받고 모아주택을 추진하고, 공공에서는 예산을 투입해 지역 내 부족한 공영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한다. 특히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국·시비로 최대 375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나홀로 아파트 양산과 저층주거지 주차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난해 국토부(13곳)와 서울시(12곳)가 선정한 서울지역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 중 적정한 곳은 모아타운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5년간 모아타운을 매년 20개씩, 총 100개를 지정하고 총 3만호의 신축주택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