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미래를 위해 교육부가 해야 할 일

입력 2022-02-10 04:02

지난해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대한민국의 지위를 아시아 그룹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했다. 그동안 서구 나라 외에는 일본만 선진국 그룹에 소속돼 있었는데 대한민국이 1964년 이 기구가 창설된 이래 처음으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옮긴 나라가 됐다. 변변한 자원도 없는 전후 빈국의 눈부신 성장은 우리에게는 자랑스러운 일이요 개발도상국에는 희망의 메시지가 될 만하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빠른 성장을 이룬 근간에는 국가교육과정을 통해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 자원을 제때 공급해온 교육의 힘이 자리한다. 교육의 힘은 국민의 높은 교육열과 학교의 치열한 교육력이 낳은 합작품이다. 특히 우리 학교는 산업사회의 대표적 특징인 지식 콘텐츠, 경쟁과 비교, 시스템을 통한 표준화 등을 중심에 두면서 상대적으로 뛰어난 교육 성과를 만들어냈다. 그런데 산업사회가 초연결사회로 변모해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산업사회 모형에 집착해서는 더 이상 성장을 이어가기 어려울 거라는 것이 많은 사람의 생각이다. 미국 하버드대 토드 로즈 교수는 ‘평균의 종말’(2018)에서 산업사회가 현대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의 교육 변화를 ‘평균’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한다. 현대사회에서는 학생들의 개개인성(individuality)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하기에 평균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제는 평균을 근거로 학생들을 비교하고 상대적 수치를 통한 줄 세우기를 가장 공정한 경쟁으로 여기는 생각부터 버려야 한다. 산업사회가 개인을 시스템에 맞췄다면 현대사회는 반대로 시스템을 개인에게 맞춰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고교학점제에 이르기까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려는 일련의 노력들은 한국 교육사에서 개별화 교육 시대를 여는 큰 전환점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교육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첫째, 미래의 메가트렌드에 맞는 교육 비전을 설계한 후 학교, 입시, 대학 등 모든 분야에 일관된 교육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학교가 개개인 특성에 맞는 학업 기회를 제공하고, 모든 학생이 교육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성장을 이어가도록 하는 국가교육과정의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 셋째, 사회부총리를 둔 부처로서 다른 개별 부처의 역량을 끌어모아 우리 사회의 모든 자원이 미래세대 육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선도해야 한다.

학생 각자가 가진 역량을 최대한 발현시켜주는 교육은 이제 학교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에 직면한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엄중한 과제이기도 하다. 개별화된 교육은 누구나 성공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믿음이 출발점이며, 각자가 삶의 행복 루트를 발견하는 것이 종착지이다. 차가운 경쟁과 비교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자신의 장점을 기반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교육 정책은 교육부가 미래를 위해 꼭 가야 할 길이라 하겠다.

권오현 서울대 사범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