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생동화나라는 선생이 머무르며 집필 활동을 한 일직면의 폐교 남부초등학교를 새롭게 꾸민 아동문학관이다. 권정생 선생의 유품과 작품, 가난 속에서도 따뜻한 글을 써 내려간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선생은 2007년 세상을 떠났지만, 작품은 남아 각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희망과 위안을 준다. ‘좋은 동화 한 편은 백 번 설교보다 낫다’는 선생의 신념을 찬찬히 되새길 수 있다.
권정생동화나라가 자리한 망호리는 ‘몽실 언니’의 배경이 된 마을이다. 첫인상부터 친근하다. 권정생동화나라 초입에 넓은 운동장과 놀이터가 있다. 강아지 똥, 몽실 언니, 엄마 까투리 등의 조형물도 곳곳에서 만난다. 건물 벽면을 채운 커다란 강아지 똥 모형과 선생의 추억이 깃든 교회 종 모형이 눈길을 끈다.
1층 전시실에는 선생이 남긴 작품과 유품이 있다. 단편 동화 ‘강아지 똥’ 초판본, 일기장과 유언장, 가난을 견뎌내며 살아온 발자취가 시기별로 전시된다. 선생의 일대기와 메시지를 담은 영상이 뭉클한 감동을 준다.
1937년 일본 도쿄에서 5남 2녀 중 여섯째로 태어난 선생은 청소부로 일한 아버지가 쓰레기 더미에서 가져온 헌책을 읽으며 유년 시절을 보냈다. 광복 이듬해 귀국해 6·25전쟁을 겪었고 나무 장사와 고구마 장사 등을 하며 어려운 생활을 꾸렸다. 청년 시절 결핵을 앓아 한쪽 콩팥과 방광을 들어낸 선생에게 가난, 병마와 함께한 세월은 글을 쓰는 자양분이었다.
조탑마을 일직교회 종지기로 문간방에 머무른 선생은 죽기 전에 아이들을 위해 좋은 책 한 권을 남기려 했다. ‘강아지 똥’은 그렇게 탄생했다. 1969년 기독교아동문학상에 당선됐다. 전시실 곳곳에는 선생의 책이 설명과 함께 전시된다. 전쟁의 참상 속에 아이들의 삶과 인간미를 그린 ‘몽실 언니’, 산불 속 까투리의 모성애를 담은 ‘엄마 까투리’ 외에 ‘무명 저고리와 엄마’ ‘황소 아저씨’ 등 유작을 만날 수 있다.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게 전부지만, 선생은 어린이에 대한 애정을 아끼지 않았다. 전시실에 보관된 유언장에는 “내가 쓴 모든 책은 주로 어린이들이 사서 읽는 것이니 여기서 나오는 인세는 어린이에게 되돌려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적혀 있다.
전시실 한쪽에는 선생이 살던 오두막집이 실물 그대로 재현돼 있다. 하루 글을 쓰면 이틀 누워 쉬어야 했지만, 선생은 사람 하나 간신히 누울 수 있는 단칸방에서 낮은 책상에 의지해 ‘점득이네’ ‘랑랑별 때때롱’ 등 마지막까지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비료 포대로 만든 부채, 몽당연필 등 검소한 삶을 보여주는 흔적이 애잔하다.
1층 복도에는 선생이 살아온 길을 담은 사진이 전시된다. 사진 속의 선생은 늘 편안하고 따뜻하게 웃는 얼굴이다. 권정생동화나라에는 도서실과 서점이 마련돼 선생의 작품을 읽어볼 수 있다.
권정생동화나라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입장료는 없다. 학교 운동장이 무료 주차장이다. 월요일, 1월 1일, 명절 당일은 휴관한다.
권정생동화나라에서 자동차로 10여분 달리면 선생이 거주한 조탑마을에 닿는다. 이 마을 한가운데에 오층 전탑(보물 제57호)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탑은 현재 보수 중이다. 이 마을에 권정생 생가가 있다. 댓돌을 갖춘 방 한 칸, 부엌 한 칸 있는 자그마한 토담집이다. 마당에는 선생이 기거할 때 사용하던 툇마루와 의자도 놓여있다. 집 바로 옆에는 선생이 아침마다 세수하던 작은 개울이 흐르고 있다. 마당에선 선생이 평생 종을 치며 아이들을 가르치던 일직교회가 시야에 들어온다. 교회 건물과 종탑은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선생은 1983년 마을 청년들이 빌뱅이 언덕 아래 마련해준 작은 오두막집으로 이사한 뒤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작품 활동을 하며 홀로 지냈다. 선생은 이 집에 살면서 생쥐들이 이불 속으로 파고들어도 내쫓지 않고 함께 잠을 청할 정도로 생명을 귀하게 여겼다.
선생은 “조용하고, 마음대로 외로울 수 있고, 아플 수 있고, 생각에 젖을 수 있어 참 좋다”고 했다. 담벼락도 대문도 없는 집은 단출한 이정표와 텃밭, 개집, 변소 등이 있다. 가난하지만 순수한 아동문학가에게는 처음 갖는 소박한 공간이었고 소중한 집필 공간이었다.
안동=글·사진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