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독 “동맹 단합”- 佛·러 “외교 해법”… 우크라 긴장 분수령

입력 2022-02-09 04:02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EPA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7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일치된 대응을 약속했다. 특히 숄츠 총리는 그동안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과 달리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공격이 있으면 우리가 함께 동의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동맹 단합을 강조했다. 러시아 제재를 위한 서방 동맹의 균열 우려를 불식하겠다는 의도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회담을 가졌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뒤 “진전이 있었다”며 외교적 해결 가능성을 열어뒀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추가 침공하기로 결정한다면 우리는 공동으로 준비가 돼 있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도 모두 준비돼 있다”며 “우리는 러시아가 침공하면 평소처럼 (노르드스트림2)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탱크나 군대가 다시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는다면 노르드스트림2는 더 이상 없을 것”이라며 “장담한다. 우리는 그것을 끝낼 것”이라고 단언했다. 노르드스트림2는 러시아의 유럽 수출용 천연가스 수송관 사업이다. 독일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높아 이에 대한 제재에 미온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숄츠 총리도 “미국과 독일은 나토와 한목소리로 말하고 함께 행동한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위협에 침묵할 수 없다. 이는 유럽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노르드스트림2 제재에 대해서는 직접적 언급을 피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회담의 성격에 대해 “냉전 이후 가장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는 서방 동맹의 결속을 공개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제재 실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러시아에 대한 억지력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독일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냐는 질문에 “신뢰를 되찾을 필요가 없다. 완전한 신뢰를 지니고 있다”며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동맹국 중 하나이며 파트너십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미국인에 대해 “떠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들(러시아)이 실제 침공해 십자포화에 휘말리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며 “그곳에 있는 누구라도 떠나라고 말할 것”이라고 요청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모스크바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외교적 협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대화가 유럽 대륙의 진정한 안정과 안보를 허용해줄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AFP연합뉴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나 5시간 넘게 회담을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마크롱 대통령은 러시아와 서방의 깊은 차이를 인정하고 양측의 안보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후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 아직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이르지만 추가 공동조치의 기초를 만드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외교적 협상 가능성을 언급한 셈이다.

마크롱 대통령도 “유럽 내 위태로운 상황은 우리의 관심사이며 우리는 모두 책임 있게 행동할 필요가 있다”면서 “아직 시간이 있다. 대화가 유럽 대륙의 진정한 안정과 안보를 허용해줄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8일 우크라이나 지도부와 만나 회동을 이어간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