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아시아문화전당 재단의 경영진 임명을 둘러싼 광주 지역사회 내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시민사회·문화예술계는 전당 재단 초대 이사장·사장의 임명 철회를 위한 법적 조치까지 예고하고 나섰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정상화 시민연대는 8일 “새로 출범한 문화전당 재단 이사장·사장 임명 과정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와 임명 무효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조치를 단행하기 했다”고 밝혔다. 시민연대는 “특별법에 규정된 임원 추천 기구인 ‘설립추진단’조차 추천·심의·임명에 관한 전반적 과정을 전혀 몰랐다는 점에서 불법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광주시와 국회의원, 조성지원포럼 등이 참여한 아시아문화전당운영 정상화를 위한 시민협의체도 7일 발표한 성명에서 “임명된 인사들은 재단이 수행 해야 할 기능이나 역할과 들어맞지 않다”며 “지역 정치인의 개입 등으로 파행적 인사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이용섭 광주시장도 지난달 18일 대변인 명의로 “이사장·사장 임명과 관련해 문체부가 광주시와 일체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이례적 성명을 냈다.
문체부는 지난달 17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라 새로 설립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초대 이사장으로 최영준(63) 전 광주 MBC 사장, 운영을 총괄하는 사장에 김선옥(64) 문화예술협회 이사장(전 광주시의원)을 임명했다.
광주지역 문화계 인사는 “문화전당 운영을 뒷받침하고 문화사업도 활발히 개발해야 할 전당재단이 출범 초기부터 삐그덕거리고 잡음에 휩싸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문체부가 최소한 사장 임명이라도 철회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법정으로 가는 ‘아시아문화전당’ 재단 인사 논란
입력 2022-02-09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