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에 설치된 코로나19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 7일 앳된 얼굴의 남학생 영정이 들어섰다. 재택치료 후 격리 해제된 지 나흘 만인 지난 4일 광주에서 숨진 송모(17)군이었다.
유족 측은 송군이 지난달 24일 확진 판정 후 숨쉬기가 불편하고 가슴이 답답하다는 증상을 호소했으나 보건소 담당자와 연락이 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증상이 악화하고 있어 생활치료센터로 옮기고 싶다’는 요청도 했지만 사망 순간까지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상황이 악화된 건 지난 3일부터다. 흉통이 심해 숨쉬기 어려울 정도가 되자 송군은 재택치료를 담당했던 병원 관계자에게 ‘두통이 심하고 숨을 쉴 수가 없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1시간 뒤 온 답변은 ‘서구 A병원으로 가라’는 안내였다. 호흡곤란 환자는 응급실이 있는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하지만, A병원은 응급실이 없는 아동전문병원이었다.
결국 송군 아버지가 직접 운전해 안내받은 주소로 갔지만 그곳에 A병원은 없었다. 이미 지난해 8월 그곳에서 차량으로 20~30분 거리 떨어진 장소로 이전을 한 상태였다. 병원 측은 “집 근처 대형병원으로 안내했지만 의사소통 과정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유족은 이 과정에서 약 4시간이 지체됐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상태가 나빠진 송군은 이튿날 오후 6시43분쯤 중환자실에서 숨을 거뒀다. 송군은 코로나19로 사망한 첫 10대이자 젊은 연령층에서 코로나로 인한 폐색전증이 확인된 국내 첫 사례다.
이처럼 기존 재택치료 시스템에서도 건강하던 10대가 사망하는 허점이 드러난 상황에서 정부가 이날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만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을 하겠다는 발표를 내놓자 사실상 ‘재택방치’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60세 이상,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인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집중관리군을 중심으로 재택치료 관리 체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송군처럼 집중관리군이 아닌 일반 확진자들이 위험에 처해도 제때 치료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와 불만이 커지는 것이다.
서울 구로구에 사는 최모(32)씨는 “지금껏 확진자들이 방치됐다고 느끼면서도 ‘향후 동네 의원과 연계될 수 있다’는 말을 믿고 기다렸는데, 이제 와서 ‘알아서 하라’고 하니 황당하다”고 말했다. 최씨 아내는 사흘 전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방역 당국에서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하고 있다.
치료는 고사하고 제대로 된 안내라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서울 금천구에 사는 이모(32)씨는 “증상 발현 후 일주일이 지나 격리를 해제해도 되는지 보건소에 10차례 문의한 뒤에야 답을 들었다”며 “고위험군이 아니면 알아서 낫고 알아서 일상생활로 복귀하라는 식으로 놔두겠다는 건데, 서서히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대응 치료도 늦어지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박민지 전성필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