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에서 절반이 넘는 국회의원 55명(52.4%)이 이번 대선 승리를 위해 윤석열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 야권 단일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7일로 대선을 30일 앞둔 상황에서 단일화에 기운 국민의힘 기류가 확인되면서 야권 단일화 논의가 더욱 불붙을 전망이다.
국민일보가 지난 3~6일 ‘윤석열·안철수’ 단일화와 관련해 국민의힘 의원 105명을 대상으로 전화통화 방식을 통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국민일보는 105명 중 101명과 전화통화를 가졌다. 4명은 연락이 닿지 않았다. 국민의힘 전체 의원은 106명이지만 구속 수감 중인 정찬민 의원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전화통화가 이뤄진 101명 중 18명은 자신의 의견을 공개하지 않았다. ‘전략적 침묵’을 택한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 인사들이 여기에 대거 포함됐다. 이들 18명을 제외하면 모두 83명(응답률 79.0%)의 의원이 전수조사에 참여했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 국민의힘 의원 105명 중 단일화에 찬성한다고 밝힌 의원은 67명(63.8%)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 중 12명(11.4%)은 단일화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시간 부족 등으로 단일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론을 제시했다. 이들을 뺀 55명의 의원은 “확실한 대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단일화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고 답했다.
A의원은 “단일화가 성사된 이후에는 안정적으로 대선을 치를 수 있다”며 “중도·부동층이 유입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의원도 “대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거둬야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국회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단일화를 시도하지 말고 다자 구도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의견은 16명(15.2%)으로 조사됐다. 윤 후보가 독자적으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자강론’을 지지하는 의원들이다.
단일화 필요성에 공감하는 67명의 의원 중 40명은 윤 후보와 안 후보 간 ‘직접 담판’ 또는 양당 지도부 간 협상을 통한 방식으로 단일화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론조사를 통한 단일화를 제시한 의원은 8명에 불과했다.
담판과 협상 방식을 주장한 40명 중 17명은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대다수는 안 후보 측 요구사항을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안 후보의 요구사항을 조건 없이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8명이나 됐다. C의원은 “국무총리는 물론이고 장관 자리 절반 이상이라도 안 후보가 요구하는 부분을 얼마든지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리 나눠 먹기’라는 비판을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D의원은 “구체적으로 어떤 자리를 주고받을지에 대해서는 얘기 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국민들이 반감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가현 이상헌 구승은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