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택요양식 코로나 관리 체계, 실패 반복하지 말아야

입력 2022-02-08 04:01
코로나19 재택치료자 관리 체계가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 위주로 전환되고 경증 환자는 재택치료 없이 스스로 몸 상태를 살펴 진료를 받게 된다. 하루 확진자 3만명대, 재택치료자가 14만명대에 다다른 상황에서 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로 보인다. 다만 경증 환자가 상황이 악화됐을 때 등 관리 체계 변화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정부는 만전을 기해야 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7일 발표한 ‘오미크론 유행 대응 방역·의료체계 대응방안’의 핵심은 재택치료를 60세 이상,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인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무증상·경증환자들인 ‘일반 관리군’은 모니터링을 없애고 본인이 필요할 때 비대면 진료를 받거나 동네 병원을 찾아가는 식으로 관리된다. 자가격리앱이 폐지된 만큼 개인의 책임도 상대적으로 강화됐다. 오미크론 특성상 현 방역 체계의 변화는 어쩔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3만5286명으로 3만명대 확진자가 사흘째 이어졌다. 재택치료 대상자도 14만6445명으로 정부가 관리 가능하다는 16만6000명의 88%까지 올라갔다. 반면 위중증 환자 수는 열흘째 200명대이며 전국의 중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18.4%에 그치고 있다.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화율은 낮은 만큼 재택치료 역량을 모든 확진자가 아닌 고위험군에 집중하도록 한 방향은 적절하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상태가 나빠질 때 병·의원에 연락하는 일본식 재택요양을 벤치마킹한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 위드 코로나, 이달 초 오미크론 대응 등 방역 체계 변화 때마다 정부 대처에 커다란 허점을 보였던 점은 불안하다. 여전히 코로나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병·의원이 신청 병원의 3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 예측처럼 이달 말 확진자가 20만명 가까이 발생할 경우 경증 환자의 진료가 제대로 될지, 경증 환자가 중증을 보일 때 신속한 치료가 가능할지 걱정부터 앞선다. 실제 지난 4일 10대 학생이 재택치료 후 격리 해제됐으나 필요한 조치를 제때 받지 못해 숨진 바 있다.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도 확대해야 한다. 현재는 50대 이상 기저질환자로 국한돼 있는데 이를 20대까지 대폭 낮추는 방안이 필요하다. 확진자 증가세를 어떻게든 떨어뜨려야 일상의 감기처럼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상 회복의 첫걸음을 위해 정부와 국민 모두 이번 조치를 마지막 시험대로 삼겠다는 각오로 임해야 더 큰 불행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