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호선 지중화로 강변·구의·건대 벨트 추진”

입력 2022-02-07 04:05

김선갑(사진) 서울 광진구청장은 “지하철 2호선 지중화를 통해 강변·구의·건대입구역의 벨트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구청장은 6일 광진구 청사에서 가진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지하철 2호선 지중화는 단순 소음과 도시 미관 문제 때문에 추진하는 게 아니다”며 “구내 11개 역세권 가운데 강변·구의·건대입구역을 벨트화하지 못해 구간 상권이 단절되는 게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구의역 주변에 첨단업무 복합시설(구의·자양재정비촉진지구)이 들어서더라도 강변역, 건대 주변의 교육·상업 특화지역과 연결되지 못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미 강변역 일대는 동서울터미널 개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는 “지하철 무임승차에 따른 서울시 손실비를 정부가 지원토록 하고, 벨트 지하도시 사업을 민자 유치하면 지중화 사업 재정을 마련할 수 있다. 이젠 서울시가 나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선 7기 남은 임기 과제로 도시계획 업그레이드 등을 통한 지역 가치 제고와 구민 체감형 정책 발굴을 제시했다. 그는 “광진은 민선시대 27년 동안 다른 지역에 비해 변화가 더디다. 단순 아파트 비율만 봐도 2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21.5%”라며 “지역 가치를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도시계획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구청장은 취임 이후 3년 6개월 동안 서울시와 광진구 전체 도시계획을 진단하는 용역을 진행한 뒤 서울시에 ‘비정상의 정상화’를 요구했다. 역세권이 11곳인 광진구의 상업지역보다 역세권 6곳의 양천구 상업지역 비율이 4배나 높은 점, 서울 시내 대형 공원 10곳 가운데 어린이대공원만 고도제한이 적용된 점 등을 지목했다.

광진구는 올해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첫 만남 이용권(출생아 1인당 200만원)’과 ‘영아 수당(월 30만원)’ 도입, 골목상권 맞춤형 경영클리닉 등 다양한 체감형 정책도 도입했다. 김 구청장은 “정책 틈새를 줄이고, 실용성에 방점을 찍자는 것”이라며 “형식적인 정책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