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확산세 ‘속도 조절’에 다시 한번 방역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2주 동안 연장해 유행 정점에 도달 시기를 늦춘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위중증 및 치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경우 다시 한번 ‘일상회복’을 추진하며 코로나19를 계절 독감처럼 관리하는 방안도 본격 검토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4일 사적모임 최대 6명, 식당·카페 등 영업시간 오후 9시까지를 핵심으로 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20일까지 2주 연장한다고 밝혔다. 식당·카페·실내체육시설·노래방·목욕탕·유흥시설 등은 오후 9시까지, 학원·PC방·키즈카페·안마소·파티룸 등은 오후 10시까지 영업할 수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뤄지면 일상회복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대본은 “의료체계 여력, 최종 중증화율·치명률 등을 평가하면서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을 본격 검토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은 강하지만, 위중증률이 낮은 오미크론이 국내 확진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이 되면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4536명 늘어난 2만7443명으로 4일 연속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반면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7명 줄어든 257명으로 일주일째 2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인 치명률은 0.73%로 나타났다.
다만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일상회복도 속도 조절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일상회복 시행 시기와 속도를 결정할 지표로 ‘의료체계 여력’ ‘중증화율’ ‘치명률’을 꼽는다. 확진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더라도 위중증 및 치명률은 낮은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의료체계 여력도 충분해야만 방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코로나를 계절성 독감처럼 관리하는 게 정부의 목표다.
확진자 급증으로 재택치료자가 늘면서 사회 필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재택치료 환자는 이날 10만4857명으로 ‘포화상태’에 근접했다. 최종균 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반장은 “병원급 관리의료기관을 새로 도입해 재택치료자 15만명까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역량을 확보했다”면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고려해 재택치료 관리체계 개편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